“원예분야 이슈에 대해 한목소리 내야”

박성직 의장은 “축산과 식량에 비해 원예산업은 큰 위기를 겪지 않았다. 축산은 수입쇠고기, 쌀은 쌀 개방 등의 문제를 겪으면서 정치적으로 중요하게 부각됐지만 원예는 수입개방이 있었지만 크게 문제 된 적은 없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대기업의 농업생산 진출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를 높였던 박성직 의장은 원예인들이 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것에 공감했다.
박 의장은 “대기업이 농업생산에 진출하도록 정부가 FTA 지원기금까지 지원했는데 농민, 국민 모두 이에 대해 반대했다”며 “당시 토마토 농가들을 중심으로 반대투쟁을 했고 농협도 동참했지만 농협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박 의장은 “이런 원예분야의 이슈가 생겼을 때 농협뿐만 아니라 생산자단체, 품목별단체 들이 하나의 목소리를 내야 근본적인 해결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생산자와 품목별협의회가 하나의 목소리를 내야 정부의 시각도 달라진다”며 “이를 위해서는 품목별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며 “품목별전국협의회를 원예산업이 낮게 평가받는부분을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원예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와 농가들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박 의장은 “원예산업에 대한 생각을 바꿔 이제는 축산과 식량만큼 중요하고 생명산업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며 “농가들은 친환경 고품질 농산물을 생산해서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 역시 정책 담당자가 전문성을 가질 수 있도록 인사제도를 바꾸어 일관성 있는 농업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담당자가 바뀔 때마다 정책이 바뀌어 현장에서는 혼선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박 의장은 “원예산업과 농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새만금에 지금처럼 대기업이 참여하는 대규모 유리온실을 짓는 것이 아니라 농업 발전을 위한 농업타운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농업타운은 농업기술을 총괄하는 센터, 종자 그리고 귀농귀촌 지원센터 등을 총 집결해서 한국농업 기술발전의 메카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업전문지의 역할에 대해서 박 의장은 “전문성을 갖고 농협이나 정부가 잘못한 것에 대한 지적도 필요하지만 농업과 그를 뒷받침하는 농협의 중요성에 대해 알리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승우 기자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