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환 재사용이 화훼 농가와 유통인의 소득을 감소시키는데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과 관련 부산영락공원이 재탕방지를 위한 모델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를 전국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국내는 연 700만여개의 화환이 유통되고 있으며 이중 30% 넘게 재사용돼 이로 인한 화훼농가 피해가 550억원대로 추정되고 있다.
부산시설공단이 운영하는 영락공원은 지난해 1월부터 2개월간 계도기간을 거쳐 3월부터 2m가 넘는 대형 3단 근조화의 반입을 금지시키고 있으며 ㈔한국화원협회(회장 박민숙) 부산지회 등과 협약을 맺고 공모를 통해 기존의 스탠드형 3단 근조화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개량형 모델을 개발, 보급하고 있다.
노인식 한국화원협회 사무처장은 “부산영락공원은 3단 조화가 못 들어가고 영락공원에서 화환대를 무료로 제공해 개량형 화환만 반입할 수 있다”며 “화환 재탕방지를 위한 훌륭한 모델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3단 근조화환 반입을 불허한 것은 너무 크고 운반과 진열이 어려운 데다 플라스틱 스티로폼 같은 인조소재를 많이 사용해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재탕하는 사례가 많아 논란이 심했기 때문”이라며 “개량형 화환은 크기와 부피가 기존 조화의 절반 이하로 줄고 인조 소재가 사라진 대신 생화 사용량이 늘고 가격도 5만~10만 원으로 다양하다”고 말했다.
노 사무처장은 “울산하늘공원도 부산영락공원을 본받아 같은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앞으로 국공립병원부터 시작해서 대형종합병원으로 화환 재사용 방지 운동의 확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경한 기자
3단화환 반입불허 생화 사용량 늘어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