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우리 술 대중화 지속 추진
농진청, 우리 술 대중화 지속 추진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3.04.08 15: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순당과 공동연구 3년 연장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지난 3일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우리 술 대중화를 위한 공동연구 연장 협약식’을 체결했다.
국립식량과학원은 2008년 6월 국순당과 함께 공동연구 협약을 처음 맺고 양조 전용 설갱미를 개발해 백세주, 명작, 상황버섯 등 총 7개 완제품에 원료곡으로 활용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국립식량과학원이 개발한 설갱미는 일반쌀에 비해 미세 구멍이 많아 양조 가공성이 뛰어나고 단백질 함량이 적어 담백하고 깔끔한 술맛을 내는 양조전용 품종이다.
국순당은 지난해 충청, 전라, 경북 등 전국 255개 농가와 설갱미 계약 재배로 총 298ha의 면적에서 1,800톤을 수매했으며 올해는 2,000톤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양조용 쌀의 공동연구는 농가와의 계약 재배를 통해 농가 수익 확대에 기여함으로써 사·농·관 상생의 우수모델로 평가 받고 있다.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공동연구 연장 협약은 우리 술의 품질 고급화를 위해 조, 수수, 기장 등 잡곡으로까지 우리 술 복원 원료로를 확대 적용키로 했다.
쌀은 걸쭉한 맛을 선호하는 소비자층을 겨냥해 탁주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는 등 술 맛의 다양화를 위해 힘쓰고, 밀은 우리 술의 핵심이 되는 누룩 제조에 적합한 밀 품종을 선발해 누룩의 가공 적성을 연구할 계획이다.
잡곡은 문배주, 삼합주, 잡곡주 등 우리 술 복원 원료로 적합한 수수, 기장, 조 등 품종을 선발해 우리 술의 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은 우리술 양조에 적합한 쌀, 밀, 잡곡 품종의 특성 분석과 개발품종의 산업화에 따른 품질관리, 재배기술을 지원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