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무·양배추·감자는 하락세, 당근은 강세가 전망된다. 고랭지 엽근채소 재배의향면적 배추를 제외하고, 증가추세이다. 조생 양파 작황 양호, 가격 점진적 안정적이다. 2013년산 마늘 작황 양호, 중만생 양파 생육 부진이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배추
△4월 이후 겨울배추 출하량 작년보다 다소 많을 듯=3월 말 현재 저장배추 감모율은 10% 내외로 평년과 비슷하나, 한파로 인해 감모율이 높았던 작년(15%)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시설봄배추 생산량 작년보다 19% 증가 전망=시설봄배추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17%, 평년보다 10% 증가한 799ha로 조사되었다. 시설봄배추 포전거래가격이 높아 농가들이 재배면적을 늘렸기 때문이며, 증가폭은 전월 조사치와 비슷한 수준이다.
△노지봄배추 재배(의향)면적 평년보다 5% 증가 전망=노지봄배추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4%, 평년보다 5% 증가한 2,265ha로 추정되며, 시설봄배추 포전거래가격 및 최근 시세가 작년이나 평년보다 높아 2월 말 조사치(작년 대비 3% 증가)보다 증가폭이 다소 확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4월 이후 출하량 작년보다 증가 전망=4월 저장 겨울배추 출하량은 겨울배추 재고량이 작년보다 약간 많고, 감모율이 적어 작년보다 5% 증가할 전망이다.
5월 전체 배추 출하량도 저장 겨울배추와 봄배추 출하량 증가로 작년 동월보다 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4월 배추 도매가격 평년보다 낮을 전망=4월 가락시장 상품 10kg(3포기)망당 평균 도매가격은 저장 겨울배추와 시설봄배추 출하량 증가로 작년과 평년 동월보다 낮고, 3월 가격보다 낮은 하락세가 전망된다. 특히, 시설봄배추가 출하되는 중·하순 이후 하락폭은 상순 대비 클 것으로 전망된다.
5월 배추 평균 도매가격은 봄배추 작황이 평년 수준을 유지할 경우, 노지 봄배추가 본격적으로 출하되면서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고랭지배추 재배의향 평년보다 2% 감소=고랭지배추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5%, 평년보다 2%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무
△시설봄무 재배면적 평년보다 18% 감소 전망=월동무 저장량은 생산량 증가로 작년보다 10% 내외 늘어날 것으로 조사되었다. 월동무의 저장성은 올해 생육기 기온이 낮았고, 강설·우량이 많아 평년보다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노지봄무 재배(의향)면적 작년보다 5% 감소=노지봄무 재배의향면적은 작년 및 평년보다 각각 5%, 8% 감소한 1,038ha가 될 것으로 조사되어 지난달 조사치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월동무 재배면적 증가로 봄무 출하기 가격하락을 우려한 농가들이 감자, 호박, 마늘 등의 타작목으로 전환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무는 직파재배(直播栽培)를 하기 때문에 향후 파종면적은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
지역별로는 호남과 영남, 경기·강원은 작년보다 각각 8%, 7%, 4%, 충청은 소폭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4월 무 출하량 작년보다 2% 증가=4월 월동무 출하량은 작년보다 단수가 8% 감소하나 출하면적이 10% 증가하여 작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많고, 저장월동무 출하량은 작년보다 5%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4월 전체 무 출하량은 작년 동월보다 2%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5월 저장월동무 출하량은 작년 동월보다 13%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고, 시설봄무 출하면적이 작년보다 7%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으나 단수가 작년과 비슷할 것으로 추정되어 5월 출하량은 작년 동월보다 7%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5월 전체 무 출하량은 저장월동무 출하량 증가로 작년 대비 5%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4월 무 가격 평년보다 낮을 전망=노지봄무 포전거래 가격은 3.3㎡당 6,000~7,500원에 거래되어 작년보다 1,000원 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늘
△4월 마늘 가격 전월 대비 강보합세=국내산 마늘 재고량이 전년보다 많은 수준이나 수입량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어 난지형 마늘 4월 상품 kg당 5대 도매시장 평균도매가격은 전월 대비 강보합세로 전망된다.
△2013 년산 마늘 작황 빠른 회복세=농업관측센터 표본농가 조사 결과 3월말 현재 2013년산 마늘 생육은 전년 대비 ‘나쁨’ 31%, ‘전년과 비슷’ 44%, ‘좋음’25%로 조사되어 전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부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2월 말 조사치보다 ‘나쁨’이 13%p 감소하고, ‘좋음’이 18%p 증가하여 마늘 작황은 빠르게 호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관측센터 2013년산 마늘 추정 재배면적은 2012년산과 비슷하거나 4% 증가한 28,402~ 29,321ha로 추정되었다.
추정 재배면적에 평년 단수(1,253kg/10a)를 적용한 2013년산 마늘 추정 생산량은 2012년산보다 5~8%, 평년보다 10~13% 증가한 36만2천톤 내외로 추정된다.
2013년 마늘 생산량은 구비대기 기상여건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양파
△양파 수입량 전년 및 평년보다 증가=3월 1~25일 양파 수입량은 신선양파 6,456톤(전년 168톤), 건조양파 16톤(전년 27톤), 냉동양파 301톤(전년 169톤)이다.
이를 신선양파로 환산할 경우 7,029톤으로 전년동기(644톤) 및 평년 동기(2,195톤)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중국산 양파의 재고량 부족으로 산지 가격이 매우 높고 장기간 저장으로 품질이 나빠져 수출 여건이 악화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생 양파 생산량 전년과 비슷할 전망=조생 양파 단수는 전년보다 3% 많고 평년보다 4% 적은 10a당 5,966kg이 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식이 지연되고 월동기 한파로 평년보다 생육이 저조하나 지난달보다 다소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 재배면적(2,177~2,248ha)에 예상단수 (5,966kg/10a)를 적용한 금년산 조생 양파 생산량은 전년과 비슷한 13만 톤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평년보다는 12~15% 적은 수준이다.
△중만생종 양파 생산량 119만 톤 추정=2013년산 중만생종 추정재배면적(17,934ha)에 평년 단수(6,626kg/10a)를 적용할 경우, 생산량은 119만 톤 내외로 전년보다 12% 많고, 평년보다는 1%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4월 가격 전월 대비 약세 전망=재고량과 조생종 출하량을 고려한 4월 양파 공급량은 11만 톤으로 전년 및 평년보다 각각 17%, 13%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파
△4월 출하량 전년보다 14% 감소 전망=4월 출하면적은 주출하지인 전남지역에서 2월 하순 이후 출하가 앞당겨져서 1.8% 감소하나 그 외 지역의 출하면적이 증가하여 전체 면적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4월 예상 단수는 한파와 병충해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파 4월 출하량은 출하면적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나 단수가 감소하여 전년 동월보다 14% 감소할 전망이다.
△4월 도매가격 전월 대비 보합세=4월 대파 출하량이 전년 동월보다 14% 적으나, 국내산 대파와 수입산 대파의 가격 차이가 커 수입량은 전년 동월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4~6월 재배의향 전년보다 5~10% 증가=전년 출하기(7~9월) 월별 가격이 평년보다 각각 77%, 100%, 119% 높아 출하기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로 4~6월 대파 재배의향은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4~6월의 대파 재배의향은 전년 대비 5~10%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당근
△3월 도매가격은 강세 지속=3월 당근 가락시장 평균 도매가격은 상품 20kg당 89,890원(중품 75,000원)이다. 재파종된 당근이 출하되면서 출하량이 증가하여 가격은 전월 대비 다소 하락하였으나, 하순 이후 ‘상품’ 물량 부족으로 가격은 상승하였다.
△4월 출하량 작년보다 60% 내외 감소=4월 겨울당근 출하량은 작년보다 78% 적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설봄당근 출하량은 4월에 조기 출하될 물량이 많아 작년보다 110% 많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5월 시설봄당근 출하면적은 재배면적 증가로 작년보다 14% 증가하고, 단수는 2% 증가하여 출하량은 16% 증가할 전망이다.
시설봄당근 출하량은 증가하나, 제주산 저장당근 물량이 매우 적어 5월 출하량은 작년보다 44% 적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4월 하순부터 시설봄당근(수막재배)이 일부 조기에 출하되나, 5월 하순 이후 시설봄당근이 본격 출하되면서 공급량은 증가할 전망이다.
△봄철에도 당근 도매가격 강세 지속=4월 당근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출하량 감소로 전월대비 강보합세로 전망된다.
시설봄당근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5월 하순 이후 당근도매가격은 하락할 전망이나, 겨울 저장당근 물량이 매우 적어 봄철 당근 가격은 평년보다 높게 유지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