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중국 중산층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농식품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한·중 FTA 협상 시작으로 농업의 위기감이 높아짐에 따라 중국시장에 우리 농식품 수출 확대 방안을 찾기 위해 2012년 11월부터 12월까지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칭다오 4대 대도시에 거주하는 중국 중산층 소비자 2,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중국 대도시 소비자 중에서 최근 한국 식품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34%이며 가공 식품을 가장 많이 구입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가공 식품 구입 비율은 34%로 미국(17.6%), 프랑스(16.4%), 일본(11.6%) 등 다른 나라보다 앞섰다.
품목별로 김치, 소스류(간장, 된장, 고추장), 차·커피류, 면류, 유제품 순이었다.
한편, 가공 식품에 비해 신선식품은 중국으로 공식 수출하는 품목이 거의 없어 구입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소비자의 신선 식품 구입은 미국(44.4%), 태국(37%), 뉴질랜드(13.4%), 일본(8.6%) 순이었다.
중국 소비자의 한국 농식품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반면 고급 이미지는 구축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수입 농식품을 구입한 중국 소비자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은 편으로, 식품은 5점 만점에 4.21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불할 의향 가격을 조사한 결과, 한국농식품에 대해서는 중국 농식품 대비 21.1% 정도만 더 지불할 의사를 밝혀 프랑스(41.6%)와 이탈리아(32.8%) 등 유럽보다 낮았다. 이는 만족도에 비해 고급 이미지를 구축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농촌진흥청 기술경영과 이상영 과장은 “한·중 FTA에 대한 다각적인 대응 전략이 필요한 시점에서 중국소비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해 그들의 마음을 얻는 적극적인 수출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도시 소비자 34% 구입경험, 만족도 비교적 높아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