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물가안정 인위적 유통단계 축소 보다
농산물 물가안정 인위적 유통단계 축소 보다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3.04.01 15: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산단체 중심 유통계열화 치중

▲ 지난달 27일 aT센터에서 여인홍 차관(사진 가운데)이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산물 물가 안정을 위해 인위적인 유통단계 축소보다는 산지의 규모화·전문화, 도매시장 기능 강화 등 유통계열화에 치중한다.
지난달 27일 aT에서 여인홍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기자간담회를 열고 “앞으로 농산물 유통은 다양한 유통채널을 만들어 효율성을 높여 농산물 수급안정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여인홍 차관은 농산물 유통 개선을 위해 ▲생산자단체 중심의 유통계열화 ▲농산물 직거래 확대 ▲도매시장 거래 효율성 제고 ▲농산물 수급관리 체계화 ▲농식품 공정거래 정착 등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유통구조 계열화를 통해 생산자는 5% 이상 비싸게 팔 수 있고, 소비자는 10% 이상 싸게 살 수 있도록 개선하고 유통비용과 함께 물류비용을 줄인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농협을 통해 산지 ‘공선출하조직’을 육성해 산지의 규모화와 전문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1조1천억원인 전속 출하액을 2016년까지 2조5000억원 규모로 확대한다.
오는 6월 안성 물류센터 개점을 시작으로 2015년까지 5대 권역별 ‘도매 물류센터’(밀양·장성·강원·제주센터)를 건립해 운송비 등 물류비용을 50% 절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역농협 하나로마트를 체인화해 소비자 편리를 제고할 방침이다.
사이버거래 등 농산물 직거래를 위해 농식품부는 2017년까지 생산자 직매장, 꾸러미 사업 등 새로운 유형의 직매장 100개소를 설치하고 사이버거래도 활성화한다.
또한 경매로 인한 가격 급등락을 방지하기 위해 오는 5월 정가·수의매매 확대방안이 마련된다. 출하규모화를 위해 파렛트 단위의 품목별 최소 출하물량을 설정하고 오는 5월까지 전국 32개 공영도매시장에 대한 시설현대화 계획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농산물 수급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수급조절위원회와 공정거래사무국이 구성된다. 수급조절위원회는 생산자, 소비자가 참여해 품목별 수급상황을 공유, 정책 결정시 이해관계자 등의 다양한 의견 조정해 최종 결정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공정거래사무국은 ‘대규모유통업에서의 거래공정화에 관한 법률’ 적용대상 확대와 불합리한 조항 개정을 추진한다.
여인홍 차관은 “농산물은 모든 국민이 관심을 갖기 때문에 가격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대통령이 강조하는 행복한 국민이 되기 위해서는 소비자는 안전한 농산물을 싸게, 생산자인 농민은 가격을 잘받는 유통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연승우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