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홍수에 대비하기 위한 농촌용수개발, 배수개선, 수리시설개보수사업이 확대된다. 또 농어촌에 산재한 건설공사 현장에서의 안전관리와 저수지, 방조제 안전진단 등 농어촌지역 재해대책이 대폭 강화된다.
농업용수 및 생산기반시설 관리와 정비를 담당하고 있는 한국농어촌공사(사장 박재순)는 지난달 26일 ‘가뭄·홍수대비, 공사현장·시설, 수질·토양 등 농어촌지역 재난·재해 3대 안전추진대책’을 발표했다.
농어촌공사는 “지난해 104년만의 가뭄과 세 차례 연이은 태풍과 집중호우 등 기후변화가 농어촌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고 밝히고 “새정부의 국가 재난관리 체계 강화와 국민안전이라는 국정과제 실천 방안의 하나로 ‘농어촌지역 재해·재난 3대 안전대책’을 마련하게 됐다”며 배경을 설명했다.
농어촌공사가 마련한 ‘농어촌지역 안전대책’의 최우선과제는 가뭄 및 홍수 등 기후변화에 대비하는 것이다. 전국 822지구에서 1조188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데 이는 전년대비 1,433억원 늘어난 규모다.
우리나라 전체 논 96만ha중 77만2천ha가 수리답이나 10년 빈도의 가뭄에 견딜 수 있는 수리안전답은 56%인 53만8천ha에 불과한 실정. 따라서 올해 2,450억원을 투입, 81지구 2만8천ha에 공급가능한 농촌용수를 개발한다.
공사현장 및 시설안전을 위한 대책도 마련했다. 공사는 올해 건설공사 안전 및 품질관리를위한 기술안전팀을 신설하고 긴급상황 발생시 조직체계 및 긴급안전점검팀 운영 등 예방적 관리체계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수질과 토양오염에 대한 안전 대책도 강화된다. 공사는 “800개소에 대한 수질측정망조사와 농업용 호소 14지구 개선, 수질전수조사 3,382개소, 수질개선사업 14지구 등 저수지 수질 안전관리를 위해 428억원을 투입한다”고 설명했다.
공사 관계자는 “기후변화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통해 농어촌지역의 재해재난 예방과 농업인의 안전영농을 위해 3대 안전대책의 차질 없는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국 822개 지구 1조188억원 투입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