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중국산 동양배가 미국으로 수출됨에 따라 중국배가 한국으로도 수입될 가능성이 많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중국산 동양배에 대한 미국의 검역상 수입허용조치에 따라 2013년 1월 하순 중국산 동양배의 대미 수출이 시작됐다. 중국산 동양배는 우리나라가 미국에 수출하고 있는 ‘신고’, ‘원황’ 등의 품종을 포함하고 있다.
중국산 배는 검역상 우리나라에 수입이 금지되어 있으나, 이번 미국의 수입허용조치를 계기로 중국산 배의 국내시장 진출 요구가 커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농협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중국은 식물병해충이 발생하지 않거나 일정수준 이하로 통제가 될 경우, 국제기구를 통해 무(저)발생 지위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검역 협상 등을 통해 상대국 수입제한조치의 해제를 추진해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중국산 동양배는 국내산 품종과 동일하고, 가격이 국내산보다 크게 낮아 중국산 동양배가 국내에 수입될 경우 배 농가에 큰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에 중국의 배 생산 및 병해충 발생 동향, 국제기구로부터의 지위 획득 여부 등을 예의 주시하고, 검역의 전문성 제고 및 관련 제도의 보완 등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농협경제연구소는 중국산 동양배 품종은 우리나라가 미국에 수출하는 ‘신고’, ‘황금’ 등의 품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격이 국내산 보다 크게 낮아, 향후 중국산 배의 대미 수출이 늘어날 경우 미국시장에서 국내산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에서 ‘신고’ 등 동양배는 주로 1990년대 후반에 과원이 조성되기 시작해 200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생산되고 있고 ‘신고’ 등 중국산 동양배의 중국내 도매가격(2013년 2월 20일~3월 21일)은 kg당 474원으로, 국내산 ‘신고’ 배 국내도매가격(4,108원/kg)의 11.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국산 배보다 가격이 저렴한 중국산 배의 대미 수출이 늘어나면, 국내산 배의 대미 수출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중국은 배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연간 40여 만톤을 인도네시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에 수출하는 주요 배 수출국이다. 중국의 배 생산량은 2011년 기준 약 1,580만톤으로 우리나라 생산량(’11년 기준 29만톤)의 약 54배 수준이며, 2007~2011년 기간 중 연평균 5.1% 증가하고 있다.
/연승우 기자
미국수입검역 허용 계기 … 중, 상대국 수입제한 해제 추진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