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팜한농과 동부팜화옹이 20일 농가와 상생하는 기업농모델을 제시했다.
당초 동부팜화옹은 정부의 농식품수출전문단지 조성사업에 참여해 과학기술영농 및 수출농업 발전에 이바지한다는 취지로 영농사업을 시작했다.
지난해 말 아시아 최대 규모의 첨단유리온실단지를 완공하고 마침내 토마토 첫 수확과 수출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최근 농민단체와 농협이 동부제품 불매운동을 전개하며 대기업의 영농사업을 반대하고 있다. 동부팜한농 관계자는 “농업인 고객이 없으면 존재의 이유가 없는 농업기업으로서 농업인들에게 피해가 가는 사업을 생각조차 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하며, “영농사업을 통해 우리 농업의 경쟁력 강화와 농가 이익 증대에 앞장서겠다는 선의에도 불구하고 불매운동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동부팜한농과 동부팜화옹은 자사의 영농사업이 대기업의 골목상권 침해와 달리 오히려 농가와 상생하는 사업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농민단체를 직접 참여시키는 등의 강력한 상생모델을 만들어 제안했다. 상생모델에는 △첨단유리온실단지 시설 활용, 농민단체와 토마토 공동 생산 △농민단체 소속 회원을 사외이사로 선임, 경영 참여 기회 제공 △농민단체, 농협 및 지자체의 지분 참여 허용 △한국토마토생산자협의회, 한국토마토수출자조회 등에 회원사로 참여, 생산 및 수출 정보 공유 △토마토 소비 활성화를 위한 토마토 효능 연구 및 홍보 활동 지원 △자체 생산량 조절을 통한 내수 유통 가능성 제거 △영농사업 이익금을 활용한 시설농업 발전기금 출연 등 농가와 기업이 공동체로서 상생하는 방안이 포함돼있다.
동부팜한농과 동부팜화옹은 농민단체가 하루빨리 불매운동을 중단하고, 새로 마련한 상생방안을 바탕으로 상호 협력해 보다 큰 열매를 함께 수확하자고 호소했다.
농가와 상생하는 기업농모델 추진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