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휘 (사)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장
조광휘 (사)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장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3.03.25 15: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친환경농자재 품질인증 업체의견 반영돼야

 
“품질인증으로 가야하는데 현재 병해충자재의 효과는 구분될 수 있어도 토양개량제와 작물생육용 자재는 효과 면에서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구분이 쉽지 않다.”
조광휘 (사)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장((주)카프코 대표이사)은 오는 6월 친환경농자재의 품질인증이 포함된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의 시행을 앞두고 “품질인증의 당초취지는 친환경농자재가 정상적인 제품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것이었으나 지금 정부는 증수효과를 잣대로 내세우고 있어 업체가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다”며 “한번 더 관과 업체가 심사숙고해서 합의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증수효과는 토양과 기후 등에 따라 충분히 달라질 수 있다. 우리나라 전국의 토양이 각각 다른 만큼 기준설정이 쉽지 않다. 그리고 유기농자재는 일반비료 만큼 효과가 못해 효과를 보려고 이물질을 삽입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품질인증으로 가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현재와 같은 방식의 품질인증은 생각같이 쉽지가 않다. 많은 업체가 참여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이를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인증에 맞는 품목을 개발해도 원자재 구하기가 쉽지 않다.”
조 회장은 또한 유독 친환경농자재의 등록 및 관리 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들어간다며 정부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목록공시든 인증이든 신청에서부터 등록절차까지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간다. 등록이후 해마다 내는 사후관리 비용도 많다. 현재 유기농자재 업체들이 영세하고 판매량이 많지 않아 관련 품목을 유지하기도 벅찬 상태다.”
“친환경농자재의 수요가 많으면 문제가 없지만 수요도 많지 않다. 이러한 유기농자재 업체의 어려움을 알고 정부차원에서 일부분이라도 보조가 필요하다. 친환경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친환경농자재는 꼭 필요하다. 이러한 부분에 정부가 신경을 써줘야 계속 할 수 가 있다.”
“보통비료 같은 경우는 등록비용도 없고 관리비용도 없다. 유독 친환경농자재만 관리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있어 관련 업체의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
지난 2월1일 회원사 만장일치로 (사)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장에 연임된 조 회장은 “유기농가를 대상으로 우수한 자재를 공급할 수 있는 협회가 되도록 소속 회원사와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며 “회원사도 늘려가고 관과 유기적 관계를 잘 유지해 회원사의 영업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피력했다.
/이경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