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비즈니스(community business, CB) 사업은 독자 사업조직을 구축·실천하는 것이 아직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김태곤 연구위원 등이 수행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중장기 육성전략’ 연구에서 지역 농협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례조사에서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은 “농촌지역에서 농협이 CB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사업에 주민과 이해당사자, 지역 거버넌스의 공동출자가 필요하며, 중앙정부, 지자체, 지역단체의 유기적 협력관계 구축, 커뮤니티 사업체의 별도 법인화 등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농촌지역이 안고 있는 일자리 축소, 소득 감소, 복지서비스 부족 등 복합적인 문제 해결하기 위해서는 ‘복지’ ‘산업’ ‘지역’ 등 3자가 일체화된 정책으로서 ‘복지농촌정책’이 요구되며, CB와의 관련성에 대해 복지서비스의 제공은 ‘보완성의 원리(principle of subsidiarity)’에 따라 최소 단위의 지역에서 문제해결을 시도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CB는 마을이라는 공간을 기본단위로 읍면이나 시군과 중층적으로 연계하여, 지역의 다양한 주체의 협동에 의해서 지역 과제를 해결해 지역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향후 농촌형 CB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과 리더의 자발적인 참여, 지역 주체에서 농협의 적극적인 참여, 지역 고유의 자원을 개발하여 상품이나 서비스 제공, 농업 생산(1차산업)과 특산품 가공(2차산업), 농산물 유통·관광·교류(3차산업) 등을 연계하는 다양한 비즈니스모델 개발, 그리고 CB의 성과를 복지서비스 등으로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방법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DB성과 복지서비스 등 지역사회 환원 필요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