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작물이 자라지 않는 원인 ‘물’
겨울철 작물이 자라지 않는 원인 ‘물’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3.02.25 16: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토양진단 후 물 공급횟수 줄이고 관비처리 주의해야

겨울철 시설재배지에서 나타나는 작물 생육부진은 양분 부족 탓이 아니라 토양에 수분이 많은 것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에 수분이 많을수록 온도가 낮아져 양분이 녹아 나오지 못하거나 녹은 양분도 손실되기 때문이다.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겨울철 토양 수용성 양분 조사결과, 토양에 유효인산이 많아도 온도가 낮아 물에 녹지 않고 유기물도 분해되지 않아 수용성 인산이나 질소가 부족한 곳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작물은 온도가 낮아지면 뿌리에서 광합성 산물을 이용해 토양의 온도를 끌어올리며 버티고, 이때 토양에 물이 많으면 온도를 높이는데 많은 광합성 산물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줄기나 잎에서 이용해야 할 광합성 산물을 뿌리에서 많이 사용해 작물이 잘 자라지 못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많은 농업인들은 작물이 자라지 않는 원인을 양분 부족으로 알고,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계속 비료와 물을 주면 작물이 잘 자라지 않고, 양분 과잉 현상이 된다.
특히 토양에 수분이 많으면 토양 속 산소가 모자라 환원상태로 바뀌면서 아질산가스가 생겨 질소가 부족하게 된다. 또한 철의 흡수가 많아져 뿌리가 갈색으로 변하기도 하고, 심하면 뿌리가 죽어 풋마름병 등 각종 병을 일으키게 된다.
농촌진흥청은 이에 따라 겨울철 토양양분관리 요령으로 작물에 물 주는 횟수를 여름철 대비 절반 이하로 줄일 것을 당부했다.
농촌진흥청 토양비료과 김유학 연구관은 “겨울철 시설재배지 작물 생육 부진은 양분 부족보다는 낮은 기온과 토양 수분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