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농식품경영체 투자활성화
농식품부, 농식품경영체 투자활성화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3.02.18 16: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태펀드 4200억원 결성 규모확대

농림수산식품부는 농식품모태펀드가 지난 2010년에 도입된 이후 지난해까지 3,300억원이 조성돼  본격적 궤도에 진입했다고 판단하고 펀드조성을 지속적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농림수산식품산업 전반의 균형성장을 위해 농림축산펀드 2개(300억원), 식품펀드 1개(150억원), 수산펀드 1개(150억원)를 결성하고, 지난해에 이어 투자에서 소외되기 쉬운 분야 지원을 위해 연매출 30억원 이하의 소규모 경영체 전용 펀드(2개, 200억원)를 결성하며, 올해에는 신규로 산업계와 농업계의 동반성장을 위한 상생펀드(1개, 100억원 이상) 등 900억원 규모의 시범사업으로 추진해 총 4,200억원의 규모로 확대한다.
농식품펀드 결성이 본격화되고 펀드 조성규모가 확대되어감에 따라 적극적인 투자 활성화 방안도 마련하였다. 우선, 정부출자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일반펀드 결성 활성화를 위해 우선손실충당금 비율을 하향(결성총액의 8%→5%) 조정하고, 펀드 운용사(업무집행조합원)의 최소출자비율도 하향(결성총액의 10%→7%) 조정한다.
법률개정을 통해 투자자산에 대한 전문적 운용능력을 갖추고 있는 증권사, 자산운용사, 보험회사, 은행 등의 금융기관이 농식품투자조합의 공동 업무집행조합원이 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조합 등록 시 결격사유 확인대상을 임원 및 펀드매니저로 축소해 펀드 등록요건을 완화하며, 지난해 시범사업으로 실시하였던 우수 기술 또는 아이템을 보유한 경영체에 대한 인큐베이팅 사업을 상시화하고, 직능·주제별 투자로드쇼 및 투자상담관 운영 등을 통해 투자대상 경영체 발굴을 상시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농업인단체 및 지자체 등과 업무협약(MOU)을 통한 투자처의 입체적 발굴과 함께 투자 로드쇼를 직능·주제별로 실시하여 보다 효과적인 행사가 되도록 개편할 계획이다.
또한, 투자위험을 줄이고 투명한 펀드관리를 위해 투자관리 전문기관인 농업정책자금관리단에 리스크관리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투자가 이루어진 경영체의 사후관리를 위한 컨설팅 프로그램등을 운영하는 등 투자펀드 사후관리와 투자펀드 전주기 관리를 보다 강화할 계획이다.
농식품부에서는 농식품모태펀드가 보조·융자 등 재정위주의 전통적인 농식품 금융을 보완·대체하는 제3섹터형 정책금융으로 자리 잡고 농림수산식품산업이 시장에서 투자 유망분야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농식품모태펀드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승우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