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합출하 소비성만 떨어뜨려
정부와 농협중앙회가 산지의 규모화를 위해 공선출하를 장려하고 있으나 품질규격화를 하지 않은 가운데 다수농가의 균일하지 않은 품질의 농산물을 혼합출하하면 오히려 소비성만 떨어뜨린다는 지적이다.
가락시장 (주)중앙청과의 김갑석 영업2팀 차장(경매사)은 “산지에서 시·군 지원을 받기 위해 공선출하를 서로하려 하고 있지만 농산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고 농가별로 식감이 달라 참외, 토마토 등 무너진 공선회가 많다”며 “공선회를 성공하려면 품질규격화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차장은 “농사를 잘 짓는 사람이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는 등 품질의 편차가 많은데 산지에서는 물량을 맞추기 위해 그냥 몰아서 시장에 내는 경우가 많다”며 “이는 결국 소비성만 떨어뜨린다”고 주장했다.
김 차장은 “이전에는 우수한 품질을 생산하는 생산자 또는 작업반 위주로 물량을 유치했으나 최근 혼합출하가 많아지면서 도매시장 기준가격은 떨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산지 공선회는 주로 대형마트로 출하하고 있으나 혼합출하로 소비성이 떨어지면서 대형마트로부터 리콜당한 농산물을 가락시장으로 출하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김 차장은 “좋은 물건을 가락시장에 출하해 기준가격을 올려야 출하주 수취가격이 올라갈 수 있으나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대형마트에서 리콜당해 안 좋은 것만 출하하면 결국 농가 수취가격만 저하된다”고 지적했다.
/이경한 기자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