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군농업기술센터는 지난 11월 8일 쌈용 배추 생산을 목적으로 재배하는 농가에서 정식 후에 생육이 평년이나 타 품종에 비해 늦어지고, 결구되지 않아 이에 대한 원인규명을 위한 현장기술지원을 요청한 사례입니다.
▲현지조사 및 출장자

▲농가 일반현황
주소 강원도 평창군, 경종개요는 배추재배 형태 노지 무멀칭재배, 정식시기 2012년 8월 3일, 농약살포 정식 후 10일 간격(살균, 살충, 영양제) 및 억제제 살포했다.
▲민원인 의견
배추묘가 정식 후 생육지연으로 결구되지 않아 종자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육묘장 및 종자회사에서는 종자에 이상이 없다는 입장이다.
▲현지조사 결과
민원인 농가는 2,640㎡의 밭에 봄감자를 재배하고, 여기에서 가을에 쌈용 배추 생산을 목적으로 ‘A품종’(자가육묘) 1,320㎡와 ‘B품종’(육묘장 구입) 1,320㎡를 각각 8월 3일에 정식하여 재배해 오던 중에 ‘A품종’는 정상 생육이었던 반면 육묘장에서 구입한 ‘B품종’은 생육이 지연되어 현재까지 결구되지 않아 출하를 포기한 상태이다.

배추재배 포장특성은 석비레(마사토) 모재층토를 복토한 경사지의 사질 내지 사양질 인위토양으로 입단형성 등 토양물리성이 매우 불량하고 양분보존 능력이 낮으며 양분용탈이 심한 토양이다.
결구상태가 불충분한 B 품종에서 밭의 경사지에서는 결구된 포기가 적었으나, 경사면 위쪽의 비교적 평평한 부분에서는 배추의 생육이 약간 좋았고 결구포기도 다수 있었다.
동일 포장에 약 1/2씩 두 품종을 재배하여 미 수확된 ‘A품종’와 미 결구된 ‘B품종’이 혼재된 부분에서 A품종 품종은 잎에 주름이 많았으나 B 품종은 주름이 없었다.
민원인으로부터 재배관리 상황 청취결과 생육초기에 생장조정제(억제제와 생장촉진제)를 처리하였다고 하며, 미결구 배추(B품종)는 생장점의 퇴화, 배추 속잎의 생장억제, 속잎 가장자리 갈변 및 부패, 잎의 기형 및 중륵 갈변, 뿌리의 등 여러 형태의 생장장애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배추뿌리 상태를 관찰한 결과 ‘A품종’에 비하여 ‘B품종’은 원뿌리에 가지뿌리가 심하게 말려 있는 것으로 보아 정식시 육묘기간이 긴 노화묘로서 초기생육이 부진하였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배추 수확기의 토양을 분석한 결과 칼슘과 마그네슘 성분이 매우 부족하며, 밑거름으로 돈분퇴비(15톤/800평), 복합비료(밑거름100, 웃거름 450kg) 등이 과다 시용되었으나 강우 등에 따른 표토의 유실로 유기물, 칼리 등 토양 화학성이 불량했다.
▲종합 검토의견
민원인의 배추재배 포장은 밑거름과 웃거름 시용이 과다하여 질소, 인산 등의 과다로 인한 마그네슘, 칼슘 등의 흡수저해로 생육장해가 발생되었고, 생육중기 이후 강우 등에 따른 토양과 양분의 유실로 인해 양분간의 불균형으로 배추의 생육불량 증상이 심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동일한 밭에 육묘조건이 다른 두가지 배추 품종을 정식하여 같은 방법으로 재배한 결과 생육이 정상적인 것과 비정상적인 것으로 나타난 것은 품종과 육묘조건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는 바, 생육이 지연되어 결구되지 않는 것은 정상 생육 배추에 비하여 정식후 생육이 지연되어 식물체의 발육이 충실하지 못한 상태에서 생장 억제 및 촉진제를 맞아 생장장애를 일으킨 것으로 추정된다.
배추에 나타난 생장점의 퇴화, 배추 속잎의 생장억제 등의 증상은 전형적인 생장조정제에 의한 생리장애 증상이며, 속잎 가장자리 갈변 및 부패, 잎의 기형 및 중륵 갈변 등은 토양중의 칼슘, 붕소 등의 영양분 부족 현상으로 보이며 일부 엽맥사이의 황화갈변은 마그네슘 결핍 증상으로 추정된다.
또한 B 품종의 배추뿌리가 원뿌리에 심하게 말려 있는 것으로 보아 노화된 묘로 인하여 정식 후 생육 부진현상이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노화 묘에 의한 초기생육 지연 및 충실치 못한 상태에서 생장조정제를 맞아 이후에 생육이 더욱 지연되어 결구되지 않았으며, 잎에 나타난 여러가지 증상들은 토양 분석자료로 보아 양분흡수 부족에 의한 영양장애로 판단된다.
▲금후 기술지도
다음 작기 전에 완숙된 우분퇴비를 300평당 3,000~5,000kg정도 넣고 20cm이상 깊이 갈이한 후 2회 정도 로타리 정지하여 토양 물리성을 개선하여 주며, 이때 소석회를 10a당 200kg 정도 함께 시용했다.
민원인 포장의 토양특성은 양분보존 능력이 낮고, 경사가 심해 강우 등에 따른 양분유실이 심한 토양이므로 토양분석 결과에 따른 추천비료를 시용하되 마그네슘, 붕소가 함유된 복합비료를 배추의 생육상태에 따라 알맞게 나누어 시용하여야 한다.
생장억제와 촉진용 농자재의 살포는 품종의 특성과 생육상태에 따라서 살포시기와 살포량을 잘 조절해야 한다.
과도하게 노화된 묘종은 세력이 약하므로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이용시에는 비배관리에 주의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