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산업 위상높여야
원예산업 위상높여야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2.12.17 16: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주요 후보들이 경쟁적으로 공약을 발표하면서 자신을 지지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농업분야에서도 대선 후보들이 농업을 지키고 살리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주요 대선후보의 공약을 보면 식량, 축산, 임업, 수산(어업)으로 세분화 시켜서 발표하고 있지만 정작 원예분야에 대한 정책을 따로 나와 있지 않다.
기자는 모 대선후보 캠프의 농정공약 기자간담회에서 원예분야에 대한 정책을 축산처럼 따로 분류하지 않았느냐의 질문에 광범위한 분야이고 농업정책에 포함돼 있어 그렇다는 답변을 들었다.
사실 농업을 크게 분류하면 식량, 축산, 원예분야로 나눌 수 있지만 지금까지는 식량과 축산, 임업에 대해서만 정책들이 발표되고 원예산업은 특화된 공약이 없었다.
2010년 배추 파동에서 고추, 양파 가격 인상에 과일 가격까지 쌀과 고기를 제외하면 원예분야이고 물가안정 대책도 대다수 원예농산물에 대한 대책이었다.
그뿐인가 전통적으로 수출을 이어가고 있는 사과와 배에 이어 최근에는 파프리카, 딸기, 단감 등도 주요한 수출품목으로 효자노릇을 하고 있다.
그러나 원예분야는 항상 식량과 축산의 하위분야로 인식이 돼 있다. 농업생산액으로 따지면 지난해 식량은 9조4,633억원으로 21.9%인데 반면 채소분야만 8조5,337억원이고 과실은 3조6,745억원, 특용은 4조6,453억원으로 채소, 과수, 특작을 합치면 축산 다음으로 생산액이 높다. 여기에 축산은 생산액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원예는 생산액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더욱 더 미래농업을 주도하는 산업임을 알 수 있다.
이번 대선이 끝나고 차기 정부가 들어서면 농식품부의 유통정책을 원예정책으로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농업에서 식량, 원예, 축산 중에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은 분야가 없다. 그러나 정책순위에서 원예는 품목별로 나눠지면서 정책에서 하위순위로 밀리는 경향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우리 원예인들도 이제는 단결된 하나의 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다.
과수, 채소 등 서로 자신의 품목만을 위하는 것이 아니라 원예산업이라는 큰 틀에서 위상을 높여야 한다.
/연승우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