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온용 커튼이나 피복재는 해가 뜨는 즉시 걷어 주어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해가 지기 전에 덮어서 보온력을 높여준다. 낮에는 환기를 알맞게 실시하여 과습과 고온장해를 예방하여 준다.
육묘중인 오이·토마토·풋고추 등의 열매채소는 야간 최저온도를 12℃ 이상, 상추 등 잎채소는 8℃ 이상 유지되도록 관리한다.
물은 2~3일전에 미리 받아 사용하고 점적관수로 오전에 주며, 알맞은 양을 주어 토양이 과습하지 않도록 한다.
지역적으로 강풍에 대비하여 고정끈을 튼튼히 매주고, 강풍이 불때는 환기창을 모두 닫아 완전히 밀폐시켜 비닐과 골재가 밀착되도록 한다.
△마늘·양파=적기보다 일찍 파종한 마늘과 정식(아주심기)한 양파는 겨울철 온도가 높으면 자람을 계속하게 되어, 갑자기 추워질 경우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마늘, 양파 밭에 덮은 비닐은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끝마무리를 잘 해주어 건조 피해를 막아주고, 비가 많을 경우 토양 과습으로 인한 습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물이 고여 있지 않도록 배수로를 정비하여 습해 예방한다.
한지형마늘 재배지역 중 일부 포장에서 싹이 올라와 동해의 우려가 있으므로 짚, 부직포 등으로 덮어주어 피해 예방한다.
△과원관리=낙엽, 떨어진 과실, 잡초 기타 썩은 가지 등은 생육기간 중에 발생한 병해충의 월동장소가 되므로 휴면기 경운 작업 시 뒤집어 주거나 한 곳에 모아 태우거나 땅속에 묻어주어 병충의 밀도를 조기에 제거함으로 내년 병해충에 의한 피해를 줄이도록 한다.
조류 피해방지를 위해 씌웠던 방조망은 눈에 의한 쓰러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과실수확 후 걷었다가 이듬해 봄에 다시 씌우도록 하고 반사필름, 받침대 등도 깨끗이 정리하도록 한다.
밑거름은 땅이 얼기 전까지 주되 유기물, 석회 등의 거름이 흙과 골고루 섞일 수 있도록 하며, 나무의 세력에 따라 주는 량을 조절하여 주도록 하며 나무의 세력이 강했던 곳은 시비량을 줄여준다.
관수시설의 동파 우려가 되는 부분의 물을 완전히 제거해 주고, 부직포나 부초가 두껍게 되어 있는 부분은 쥐 등의 서식처를 제공하므로 뿌리에 상처를 줄 수 있으며 지열의 발산을 막아 동해 및 봄철 개화시 늦서리 피해를 받기 쉬우므로 제거해 준다.
△과실 저장고 관리=과실 저장고에 상자는 너무 많이 쌓지 말고 3∼4상자마다 통로를 만들어 공기 유통이 잘 되도록 해 준다.
최대적재물량은 저장고 부피의 70∼80%를 넘지 않도록 하고, 저장고 벽에서는 30∼50㎝, 천장에서는 50㎝ 정도의 공간을 유지시켜 환기가 잘 되도록 해 준다.
△화훼=하우스에서 거베라를 재배할 경우 포장에 물주는 작업은 오전 10시경에 하는 것이 과습에 의한 곰팡이병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시설재배에서 물주는 양은 토양조건, 작물의 상태, 햇빛 강도에 따라 달라야 하므로 흐린 날이나 습할 때는 주는 양을 줄여 준다.
△특용작물=느타리버섯 재배의 살균온도는 버섯배지(볏짚, 솜)를 65~70℃로 유지시켜준 상태에서 8시간 동안 지속시켜 주고, 50~55℃에서는 2~3일간 발효작업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충분히 환기를 실시한 다음 배지 온도가 25℃ 내외에 이르렀을 때 종균을 3.3㎡당 8∼10병을 접종하도록 한다. 겨울철 저온성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배지와 재배사 안의 온도가 10~16℃ 내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온도를 관리한다.
습도는 버섯발아 초기에는 90%이상, 생육기에는 80~85% 내외로 맞추어 주어 불량 환경에 의한 기형버섯 발생이 되지 않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제공>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