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중석 (제주도 남부농업기술센터 / 감귤)최근 한·미 FTA협상과 관련 최근 나라안팎이 시끌법석하다. 특히 한·미 FTA가 체결될 경우 우리농업중에서는 감귤산업에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된다.이러한 어려움 가운데에서도 국내 감귤산업을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육성 발전시키는데 크게 공헌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 그는 바로 제주도 남부농업기술센터 이중석 농촌지도사다.이중석 지도사는 농산물 수입개방으로 제주도의 주 소득원인 노지감귤의 경쟁력이 떨어짐을 인식, 새로운 감귤 도입을 위해 일본 과수시험장에서 개발된 청견×중야폰칸을 교배해 만든 부지화(한라봉)를 도입, 독농가와 협력해 실증시험 재배를 했다. 그 결과 품질이 우수하다고 판단됨에 따라 1994년 1.4ha 불과하던 한라봉 재배면적을 2005년 349ha로 확대해 170억원의 소득을 올리는 효과를 가져왔다.한라봉 도입을 위한 재배기술을 보급하기 위해 교재발간 및 영농교육을 실시한 결과 처음부터 300여명 정도의 농가가 모이는 등 많은 관심을 가지는 것을 계기로 2000년부터 현재까지 한라봉 재배기술교재(262page) 5회 3,000부를 발간·배부했으며, 한라봉재배력(월별관리요령)을 3회에 걸쳐 3,000부를 제작 보급했다.또한 한라봉 품질고급화 세미나, 제주대학교 최고경영자반, 제주감귤원예지(2000~2002년)등에 3년간 노지한라봉에 대해 재배 관리요령을 집필했고, 센터 내에서 한라봉 연중교육을 실시, 2001년부터 현재까지 매월 1회에 150여명의 농업인을 대상으로 현장 실습을 하고 있다. 또 제주도농업기술원, 북제주군농업기술센터, 나주시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협, 중문농협, 효돈농협 등 제주관내 전지역을 대상으로 출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라봉 고품질생산을 위한 우량묘목(부지화M15A) 25,000본(27.5ha), 한라봉우량 접수(부지화M16A) 150kg/년 묘목 60,000본을 생산할 수 있는 접수를 공급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한라봉 재배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험한 결과를 토대로 기계유제 살포, G/A살포에 의한 낙과방지대책과 에어백을 이용한 에너지절약 기술을 보급했으며 1년생 식재 후 3년차에 착과하는 기술을 농가에 보급해 재배기간을 단축시키는 등 오늘날 제주도에 한라봉을 정착시킨 장인으로 알려져 있다.이 지도사는 품질이 고르지 못한 한라봉을 선과하기 위해 선진 일본기술도입을 위한 해외연수를 실시했고, 2004년에는 사업비 3억원을 투입해 비파괴선과기와 선과장을 설치해 한라봉을 출하하고 있으며, 현재 연구회원수는 86명에 30ha에서 600톤을 생산해 현재 꿀허벅은 6,153원/kg(평균가)으로 일반 4,321원/kg보다 42%나 더 가격을 받고 있는 등 가락동 도매시장에서는 항상 최고가격을 유지토록 하고 있다.아울러 이 지도사는 신품종 감귤을 보급하기 위해 만감류 묘목 35,000주를 보급해 32ha의 과원을 갱신했으며, 접목용 접수 2종 304㎏를 보급해 20.2ha 갱신했다. 감귤 안정생산 유통 지도를 위해 감귤생육조사를 3회 171개소의 개화상황, 착과상황, 과실비대 및 품질 조사를 실시해 감귤생산 유통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첨단장비를 활용한 하우스감귤 꽃눈분화 검사 640점, 한라봉 수확전 품질검사 154점을 실시해 가온적기와 수확시기를 판단해 농가경영비 절감에 기여했다.타이벡피복, 감귤원환경개선 등 노지감귤에 4개사업 7개소, 에너지절감, 신품종 보급 등 시설감귤에 2개사업 2개소, 고품질 한라봉 생산, 신품종 보급 등 만감류에 2개사업 9개소 등 모두 8개 사업 18개소의 시범사업을 추진하기도 했다. 또한 감귤 현장애로기술 실증시험으로 만감류 품종별 실증시험 4개소 1,914㎡, 한라봉 가온비용 절감 기술실증 1개소 1,320㎡, 감귤 우량대묘 육성 실증 1개소 790㎡을 설치해 미수익 기간을 단축시킴으로써 10a당 300만원의 소득을 올리는데 기여했다.감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병해충 예찰 결과를 수집 분석하고자 감귤 병해충 예찰포 1개소 1,800㎡, 병해충 진단실 운영 27㎡, 병해충생태관 98㎡를 운영하고 있으며, 병해충 발생정보지를 45회 9,000부, 농약안전사용 및 혼용가부표를 3,000부를 제작 배부했다.또한 농약안전 사용교육을 59회 4,355명 실시했고 감귤원 병해충종합관리시범 7개소 7㏊를 추진 중에 있다. 친환경농업을 위한 토양산성화 방지를 위해 감귤원 토양검정 605㏊ 1,470점, 품질인증 감귤원 토양검정 350점을 완료했다. 이와 함께 감귤원 토양환경개선시범 1개소 1.0㏊, 감귤원 양분종합관리시범 8개소 7.7㏊, 감귤원 친환경농업시범 4개소 2.3㏊를 추진 중에 있다.이외에도 농업현장에서 일어나는 애로기술을 실증시험을 통해 해결하고 우량감귤 공급체계 시설을 갖추어 농업인의 전문 학습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노지재배 실증시험 5개항목 17,792㎡, 시설재배 실증시험 6개항목 5,529㎡의 실증시험을 추진 중에 있다. 더욱이 한라봉 고접갱신 2차 착과, 대묘 식재시 2년차 착과, 1년생 식재시 3년차 착과시켜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