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대포장 줄여 생산비절감 및 환경문제 해결해야

지난달 30일 ‘2012 대한민국 과수산업대전’ 일환으로 개최된 ‘국산과실의 소비활성화 방안’에 대한 심포지움에서 소비자시민모임 황선옥 이사가 이같이 주장했다.
황선옥 이사는 제1주제 발표에서 국산과실 소비활성화를 위한 소비자의 역할과 필요한 대책에 대해 “소비자의 선택이 시장을 바꾸기 때문에 제철과실을 소비하고, 대과가 아닌 작은 과실을 선택해야 농가들이 소비자 기호에 맞게 생산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과대포장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과대포장이 아닌 과실을 소비함으로써 과대포장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이사는 “소비자들은 감시자, 응원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황 이사는 국산 과실 소비활성화 대책으로 생산자는 ▲정부 인증제도 적극 도입 ▲APC를 통한 투명한 생산과 공동선별, 공동출하로 생산비 절감 ▲농산물 그린포장 실천수칙 준수 등을 유통업체는 이익이 많지 않아도 제철 국내과실을 많이 판매하도록 노력하고 국산 과실에 대해서는 수수료를 낮춰 농가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소비확대를 위한 APC의 역할과 발전 대책’에 대해 충북원예농협 충주APC 김운행 상무는 거점APC 등 주산지 광역유통조직은 수급조절을 위한 장기저장에 따른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 사업범위가 1개시군의 행정구역을 초과함에도 불구하고 지원체계는 지자체를 통하게 되어 있어 불필요한 마찰과 지원에 대한 제한적 요소들이 발생한다며, 수급안정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거점APC의 저장능력 강화 지원 방안 마련 및 2개시군 이상의 사업권역을 확보한 거점APC 등 광역유통조직에 대해서는 1개 지자체가 아닌 도 단위 광역지원체계가 수립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상무는 품질을 극대화하고 산지의 건전한 발전을 지향하는 공선출하회 육성에 있어 행정구역의 제한은 거점APC 뿐만 아니라 품목농협의 사업을 저해하는 큰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김 상무는 품질 및 등급판정,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거점APC 및 브랜드에 대한 정가수의매매 제도의 조기 도입과 도매시장과 거점APC 간 화상경매제도 도입을 통한 유통비용 절감방안도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2일까지 3일간에 걸쳐 열린 ‘2012 대한민국 과수산업대전’은 많은 소비자·생산자 등이 참관, 대성황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연승우 기자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