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농림수산식품부, 국토해양부,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농촌진흥청는 급변하는 유전체 산업의 발빠른 대처를 위해 ‘포스트게놈 신산업육성을 위한 다부처 유전체 사업’을 기획하고 예비타당성조사를 수행한 결과, 추진 타당성을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그간 정체되었던 유전체 분야 정부 R&D 투자가 본격화돼 2014년부터 2021년까지 8년간 국고 5,788억원이 유전체 연구에 투자되며 부서별로는 복지부 1,577억원, 농식품부 1,180억원, 국토부 608억원, 교과부 1,513억원, 지경부 910억원이다.
유전체 분야는 21세기 들어 가장 급격한 발전을 보이는 분야지만, 우리나라는 타 분야에 비해 투자 및 기술 수준이 낮은 편이다.
유전체 기술은 대량의 유전 정보를 일시에 해독하는 장비와 빅데이터(대량정보)를 다루는 IT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 유전체 해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극적으로 감소됨에 따라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특허권·지적재산권 등 유전체 기술력 선점을 위하여 각국의 경쟁이 치열하나, 우리나라는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유전체 기술이 가져올 미래사회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우리나라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범정부적 차원에서 동 사업을 기획하게 되었다.
동 사업은 ▲개인별 맞춤의료를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신약 및 진단치료기술 개발, ▲동·식물, 식품기반 미생물, 해양생물 등 각종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생명 자원 개발, 그리고 이를 위해 필요한 ▲유전체 분석 기술 등 연구 기반 확보 및 조기산업화 촉진을 목표로 한다.
유전체 5대 분야에 걸쳐 17개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며, 이 중 부처간 연계·협력이 요구되는 5개 사업은 공동 연구 사업(1,035억원, 총사업비의 17.9%)으로 추진된다.
5개부처 8년간 5789억원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