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APC 통합 기능 확대해야
소규모 APC 통합 기능 확대해야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2.11.19 16: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지유통시설 제품 많이 판매한 공판장 등 정책지원 조정 필요

▲ 지난 9일 국회에서 APC등 산지유통시설 지원·운영성과와 향후 발전방안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소규모 APC 사업장을 통합하고 상호역할을 분담, APC의 기능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 9일 신성범 의원(새누리당 산청함양거창)과 농협APC운영협의회 등 공동 주체로 열린 APC등 산지유통시설 지원·운영성과와 향후 발전방안 토론회에서 박병승 대관령원예농협 조합장이 이같이 주장했다.
박병승 조합장은 “소규모 APC의 경우 단순수탁 사업비중이 높아 실질적인 APC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또한 김기훈(제주 감귤) 조합장은 “APC 등 산지유통시설의 제품을 많이 판매한 농협 공판장 또는 농협 유통에 대해 국가에서 정책적인 지원을 조정할 수 있어야 APC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청중 토론에서는 전영남 전남 서남부 채소 조합장이 “APC를 신설하거나 보완을 할 때 지방비 확보가 어려우니 국고 지원을 늘리는 것으로 정책이 바뀌었으면 좋겠고, 농산물 가격에 대해 정부가 과도하게 제재하지 말고 시장 경제에 맡겨야 하며, 농협중앙회가 경제와 금융을 분리하면서 수수료가 옥상옥 구조가 되고 있어, 이렇게 되면 열악한 수익구조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는 만큼 개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주제발표에서 김대수 농식품신유통연구원 국장은 “APC 운영 고정비율이 6.78%에 달하고 있어 개소당 평균 600만원의 손실이 발생해 APC 활성화를 위해서는 비용발생요인을 분석하고 마케팅 강화를 도모해야 한다”며 “APC 비용항목을 정확히 기재해 이를 통한 비용 발생 구조를 차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해동 농림수산식품부 유통정책과장은 “중장기적으로 전국에 있는 APC는 두 가지 유형, 즉 전국적인 유통에 참여하는 APC와 로컬푸드 기능을 수행하는 APC로 기능과 역할을 구분하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로컬푸드형 APC는 전 처리시설 등을 보안해 지역내 중소 소매유통과 학교급식에 농산물을 공급하는 차별화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서 과장은 이와 함께 “공동선별·계산을 산지유통의 주류로 정착시키기 위해 공동계산에 참여하는 농가에게만 산지정책자금을 지원하도록 하는 제도 개편을 추진 중에 있다”며 “2011년부터 시행중인 시군단위 산지유통종합통합조직을 통한 통합마케팅 추진상황을 점검, 그 결과에 따라 인센티브와 패널티를 부여해 정책취지에 따라 추진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승우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