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식품 클러스트사업 차질 우려
국가식품 클러스트사업 차질 우려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2.10.22 15: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우남 의원, 공동집배송시설 설립 시급 강조

농식품부와 전북도가 함께 추진중인 국가식품클러스트사업이 당초 계획과 달리 차질이 빚어지고 있어 대책이 시급한 실정인 것으로 지적됐다.
민주통합당 김우남의원은 전라북도 국정감사를 통해 국가식품클러스트사업의 당초 계획은 전북 익산에 150개의 식품기업과 10여개의 연구소를 유치해 식품전문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고, 동북아시아 식품시장을 선도할 세계적인 식품클러스터 설립을 하는 것이나 2008년 사업시작 이후 2012년 현재까지 투자 MOU를 체결한 실적은 국내 41건, 해외 14건으로 총 55건에 불과해 당초 계획 대비 34.4%에 불과해 추진 실적이 저조하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의 경우는 해외기업과 맺은 투자 MOU 체결 건수는 단 한건도 없었으며, 국내 역시 3건에 불과했고, 체결 건수가 적으면 결국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해 결국 당초 식품클러스터 추진 계획에 차질을 빚게 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관련 김의원은 이 사업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공동집배송시설 설치가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의원에 따르면 세계 4대 식품클러스터 중 하나인 네덜란드의 푸드벨리에 세계적인 식품기업들이 투자하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우수한 물류유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물류유통시스템에 체계적 관리를 위해 필요한 시설이 바로 공동집배송시설인데, 이 시설을 설치할 예산 확보에 실패함으로서 공동집배송시설 설립에 차질을 빚게 된다는 것이다.
공동집배송시설은 유통을 원활하게 해 주는 시설인 만큼 유통이 체계적으로 관리가 되지 못한다면, 물류비의 증가, 교통증가로 인한 클러스터 내 주차장 확보문제와 환경오염 증가, 배송의 중복 교차로 인한 신속성 결여, 노동환경의 악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고 김의원은 덧붙였다.
따라서 김의원은 제품은 잘 만들어 놓아도 유통이 체계적으로 관리가 안 되면 세계시장에서 제품경쟁력이 뒤떨어질 수밖에 없고, 앞으로 조성될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기업들을 유치하고 기업에게 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공동집배송시설은 우선적으로 조성되어야 한다고 피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