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올해 상반기 귀농·귀촌 가구수가 8,706가구, 인구수는 17,745명(가구당 2.2명)이라고 밝혔다. 시도별로는 충북(2,085가구)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전북(1,380), 전남(1,355), 경북(1,317) 순이며, 상위 4개도가 70.4%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연령별로는 50대가 32%, 40대가 24.4%를 차지하여 4~50대의 베이비붐 세대 귀농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실제로 농업기술 습득을 통해 생산 활동을 할 수 있는 60세 미만의 귀농은 7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별로 구분하면, 전체적으로 귀농가구가 53.7%(4,678), 귀촌가구가 46.3%(4,028)이며, 귀농가구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으로 이주가구의 80.6%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귀촌가구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북으로 76.5%가 귀촌인구로 나타났다.
귀농 전 직업으로는 자영업(24.6%), 사무직(18.5%), 생산직(10.8%) 순으로 조사되었다.
귀농 후 농업 주 종사분야는 생산기술이 복잡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영농이 쉬운 벼 등 경종분야가 35.5%를 차지하여 가장 많으며, 과수(9.0%), 시설원예(6.3%), 축산(2.7%) 순으로 조사됐다.
2005년까지 1.2천가구 이하 수준이던 귀농·귀촌은 2011년 10천가구 이상으로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2012년도 상반기에는 8천가구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귀농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귀촌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은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다양한 삶의 가치 추구 등 그 요인이 다양하며, 2012년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이 정책브랜드과제(Mr. 귀농·귀촌)로 적극 추진한 것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농어촌지역으로의 이주가 주로 하반기에 이루어지는 경향을 고려해 금년 귀농·귀촌가구수를 추정해 보면 전년대비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에서는 귀농인의 농촌정착 및 성공적인 농산업창업을 지원하기 위해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귀농·귀촌 희망자들이 정부·지자체 정책 및 관련 정보 획득, 상담 등을 한자리에서 해결하는 One-Stop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On/Off-line을 결합한 ‘귀농·귀촌 종합센터’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귀농·귀촌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지원을 확대하고, 직업별·단계별 특성 등을 반영하고 있다.
농업창업 및 주택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귀농인에게는 저리의 융자금을 지원하여 생활안정을 돕고 있으며, 각 지자체에서도 귀농인 유치를 위해 중앙정부와는 별도의 조례제정 및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귀농인구 지난해보다 2배 증가 전망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