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6차 산업으로 확대해야
농업 6차 산업으로 확대해야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2.09.10 14: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성장동력 전담조직 필요

▲ 지난 6일 농촌경제연구원에서 열린 ‘농산업경쟁력, 재점검한다’심층토론회
농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농업의 범위를 6차 산업으로 확장하고 정보통신기술(IT), 생명과학기술(BT), 녹색에너지기술(GT) 등 첨단기술을 접목해 총체적인 역량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의견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이동필)이 지난 6일 개최한 ‘농산업경쟁력, 재점검한다’라는 제목으로 열린 심층토론회에서 나왔다.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를 한 KREI 김연중 연구위원은 “그동안 농업경쟁력 대책은 비용 절감과 품질 향상이라는 양대 축으로 영농규모화 및 조직화가 추진됐으나, 생산성 향상이나 소득 증대의 한계에 부딪혔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이를 극복할 방안으로 농업경영의 총체적인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1차+2차+3차=6차 산업화를 추진하고, 나아가 +α 전략으로 IT, BT, GT 등의 첨단기술을 농업에 접목시켜 소득원을 늘려나갈 것을 제안했다. 그리고 농림수산식품부에 신성장동력 정책을 추진할 전담조직을 신설·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가옥 전북대 교수는 농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주요 곡물의 안정적인 생산·확보를 위해서는 먹거리 생산주체(조직체, 경영체)를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경영규모 확대 정책으로 쌀 부문에서 들녘경영체 육성을 강조하며, 들녘경영체 지원사업이 비용절감·수익창출·고품질-친환경 쌀생산·노동비 절감·시장 교섭력 등의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현민 부안시민발전소장은 마을단위, 지역단위의 에너지 자립은 에너지 절약이 가장 중요하고, 다음으로 신재생에너지의 보급·확대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소장은 부안 등용마을에서 에너지를 자립할 수 있었던 것은 지역주민의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참여와 실천 때문이라고 밝혔다.
여현 순천대 교수는 농업부문에 이용되는 IT는 농업생산·물류·식품·판매·소비·검역·농어촌 복지·관광 그리고 농촌문화까지 접목된다고 말했다. 농업 IT는 작물재배, 가축사양 환경 등을 모니터링해서 제어해 정밀 농업과 고부가가치 농업 실현, 농식품 물류정보 융합기반으로 유통의 선진화, 이력관리 등에 활용하여 농식품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농업경영체가 영세하고, 농식품부의 IT 정책이 산발적이다 보니 확대가 어렵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