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도 그럴 것이 귀농귀촌 현황에 대한 통계가 마련돼 있지 않아 어느 시군에 얼마만큼의 귀농·귀촌인이 활동하고 있는지조차 파악하지 못하는 실정인 것이다.
일전에 전국 귀농인 중에서 화훼분야는 얼마나 되고 정착률은 어떠한지 취재하기 위해 농식품부에 협조를 요청했다. 하지만 통계가 없다면서 해당 시군에 직접 알아보던지 아니면 산하 기관인 귀농귀촌종합센터에 문의를 하라는 답변만 반복했다. 그런데 귀농귀촌종합센터에서는 귀농과 귀촌에 대한 상담만 할 뿐 귀농인구 등에 대한 현황을 알지 못한다면서 농식품부에 문의해보라고 했다.
어느 지역에 어떤 분야의 귀농·귀촌인들이 활동을 하고 있는지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응당 정책을 주관하는 농식품부의 소임임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그런 기본적인 자료조차 없으면서 귀농·귀촌정책을 추진한다는 것은 말 그대로 어불성설이다.
농업 현장에서는 정부에서 귀농·귀촌정책을 펼치며 장기적인 대책이 아니라 단순히 도시인을 지방으로 분산시키려 든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런 질책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하루빨리 귀농귀촌 현황에 대한 세밀한 조사와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정의권 기자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