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배추 생산비 보상가 현실화 필요
무·배추 생산비 보상가 현실화 필요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2.08.03 18: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형마트 연중할인행사 등 법적 제제해야

▲ 지난 1일 김황식 국무총리는 농산물유통구조 개선 간담회에 앞서 양재동 하나로클럽에서 현장 물가를 점검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지난 1일 양재동 농협하나로마트를 방문, 농식품 물가를 점검하고 소비자·생산자대표와 유통관계자등이 참여하는 농산물 유통구조개선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김 총리는 지난 5월 극심한 가뭄과 최근 지속되는 폭염 등으로 일부 농산물의 수급불안이 우려됨에 따라 배추, 삼겹살 등 주요 서민생식품에 대한 단계별 유통실태와 판매가격 등을 직접 점검했다.
유통실태 점검과 병행해 소비자·생산자대표 및 유통관계자 등 분야별 전문가가 참여하는 현장 간담회를 열고 2010년 배추 가격파동을 계기로 수립된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대책 추진사항을 점검하고 분야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었다.
이날 간담회에서 김 총리는 “농산물 유통구조개선 목적은 각 단계별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낭비요인을 제거해 생산자와 소비자에 이익이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생산자와 유통관계자에게 수급안정과 유통비용 절감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강조했다.
간담회에서는 농협의 사회적 역할의 중요성, 무·배추 가격 폭락시 생산비 보장가격 현실화, 농업관측에 대한 자료 공유 등 수급안정에 대한 방안이 폭넓게 논의됐다.
한국과수농협연합회 박철선 회장(충북원예농협 조합장)은 “대형유통업체들이 수수료를 과다하게 물고 있고 원플러스원, 연중할인행사 등의 횡포에 대한 제도적 제재방법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박병승 대관령원예농협 조합장은 “무·배추 가격폭락 시 생산비 보상가격을 현실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논의된 내용은 면밀한 검토과정을 거쳐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대책 추진 시 적극 반영하는 방안을 강구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연승우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