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억제 기술 개발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억제 기술 개발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2.07.23 16: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종 벼 줄무늬잎마름병 나타나도 안정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벼 줄무늬잎마름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RSV) 유전자 발현억제 기술’을 개발해 우리나라 주요 벼 바이러스병 중 하나인 벼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을 개발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벼 줄무늬잎마름병은 애멸구가 매개하는 바이러스병으로 감염되면 줄무늬모양의 잎마름 현상을 보이며 발생이 심한 논은 수확이 힘들 정도로 무서운 병이다. 또한 농약으로 방제하기 힘들어 저항성 품종의 개발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과거 주로 남부지방에서 발생하던 벼 줄무늬잎마름병은 2007년 이후 충청도 서해안 일대 뿐만 아니라 강원도 고성, 춘천, 중산간지인 상주, 고랭지인 진부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또한 월동작물 재배지역이 확대돼 애멸구가 살기에 좋은 환경이 되면서 앞으로 전국적으로 만연될 위험성이 높다.
지금까지 개발된 벼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품종들은 모두 인디카벼 품종 중의 하나인 ‘모단’에서 유래된 단일 저항성 유전자(Stvb-i)이다.
이러한 유전적 취약성은 신종 바이러스가 나타나면 저항성이 붕괴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안정적인 저항성원의 다양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벼에 바이러스가 감염됐을 때 짧은 간섭 RNA를 생성함으로써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발현될 수 없도록 벼 식물체 내에서 바이러스의 증식을 막아 저항성을 갖는 ‘RNAi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