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이 ‘판매농협 구현’과 ‘국민의 어려움을 함께’라는 구호를 내세워 농업인과 소비자 중심으로 모든 사업을 전환하겠다고 천명했다.
농협 윤종일 전무이사는 지난 5일 농림수산식품부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농업인에게는 더 많은 실익을, 고객에게는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표를 세웠다며 이같이 밝혔다.
윤 전무에 따르면 농협은 농업인이 생산한 농축산물의 안정적인 판로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도시 농·축협과 중앙회가 최초로 공동 투자해 서울 등 대도시에 농축산물 판매장(4개소)을 시범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대도시 소재 농·축협이 금융점포를 신설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농축산물 판매장을 병행 설치하도록 의무화하고, 전 금융점포(828개소)에 농산물을 판매하는 신토불이 창구를 설치하는 등 판매채널을 최대한 확보한다는 복안이다.
이를 토대로 대도시 농협의 경제사업을 대폭 확대해 신용사업에서 경제사업 중심으로 기능을 전환해 나갈 예정이다.
대도시 농·축협의 사업현황 및 여건 등을 감안해 판매장 확충형, 온라인 사업형, 학교·기업 급식형, 기획 행사형 등 4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유형에 따른 컨설팅 실시 등 맞춤식 지도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대도시 농협의 경제사업 비중(매출총이익 기준)을 현재의 10% 수준에서 2013년 15%, 2015년 20%, 2017년 30%까지 연차적으로 높여 나갈 계획이다. 한편, 대도시 축협은 현재의 21% 수준에서 2017년까지 35% 이상으로 확대한다.
이에 따라 대도시 농축협의 경제사업 취급 물량이 매년 1조원씩 증가하여 2017까지 현재보다 6조원이 증가한 13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목표 달성을 위해 지표를 부여하고 지표 달성 여부에 따라 2014년부터 자금지원, 점포설치, 계통판매장 판매, 농협상표 사용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농축산물의 유통 활성화에 무이자자금 및 저리자금을 집중 지원 한다. 무이자 및 저리의 농축산물 유통활성화자금의 조성규모를 현재 8조 1천억원 수준에서 2015년까지 10조원으로 확대해 판매사업 및 생산기반 조성 등 유통부문에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대도시에 소재하고 있는 농·축협이 공동으로 출연하여 2017년까지 연차적으로 5,000억원 규모의 ‘도농상생협력기금’을 신규로 조성할 계획이며, 조성된 기금은 2013년부터 경영여건이 어려운 농촌지역 농·축협의 경제사업활성화 지원자금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친환경 농식품을 중심으로 온라인 (On-Line) 기반의 회원제 가정택배 사업을 시작해 산지에서 생산된 청과, 양곡, 축산 등 신선농산물과 이를 원료로 가공한 농식품을 e-쇼핑몰 등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의 유통채널을 통해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에게 직접 공급한다.
중소 슈퍼마켓에 대해 농협의 안심농축산물을 공급함으로써 소상공인과 동반 성장을 도모한다.
/연승우 기자
대도시 농협 경제사업비중 연차적 확대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