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저병은 기온이 높아지면 발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병 발생 초기 예방위주 적용약제 살포하고 담배나방, 진딧물, 총채벌레 등 해충은 발생 밀도가 높을 경우에는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발생초기 밀도 감소한다.
△시설채소=고온장해를 받지 않도록 환기팬을 가동하거나 차광시설을 설치하여 하우스 안의 온도가 30℃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관리한다.
생육이 부진한 작물은 제4종 복합비료 및 요소 0.2% 엽면시비하고 총체벌레류, 응애류, 나방류 등 해충 방제를 철저히 한다.
시설 내의 환경관리를 잘 하여 병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병해충이 발견되면 적용 약제로 방제하되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지켜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한다.
△고랭지 무·배추=가뭄지속후 비가올 경우 시들음 증상 및 무름병 발생이 예상되므로 배수로를 정비하고 예방위주 무름병 방제약제 살포한다.
지난해 뿌리혹병이 발생했던 포장은 적용약제로 토양을 소독하고, 가급적 돌려짓기, 높은 이랑 재배, 석회시용, 농기계 소독 등을 실시하여 피해를 최소화한다.
석회결핍증 예방을 위해 밑거름으로 석회를 적량 시용하며 배추 뿌리가 잘 흡수하도록 토양이 건조하거나 과습하지 않게 관배수에 유의한다.
△과수 집중호우 대비=배수로를 깊게 파서 습해를 방지하고, 초생재배 과수원은 풀베기를 한다.
경사지 또는 새로 조성한 과수원은 짚 또는 산야초, 비닐 등을 덮어 집중호우 등으로 겉흙이 씻겨 내려가지 않도록 조치한다.
바람에 의하여 찢어질 우려가 있는 가지는 유인하여 묶어주고 늘어진 가지는 받침대를 받쳐준다.
밀식재배에서는 철선지주를 점검하여 선의 당김 상태를 점검하고, 가지를 지주시설에 고정한다.
△병해충 방제=기온 상승과 함께 응애류, 복숭아심식나방, 꼬마배나무이, 감관총채벌레, 감나무주머니깍지벌레 등 중점 방제한다.
병에 걸린 과실 및 잎은 제거하거나 매몰하여 병원균 확산 방지한다.
△엽소(잎 갈변현상) 방지=연속된 강우에 의한 뿌리 기능 약화로 잎에 수분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으면서, 강한 햇빛과 고온으로 엽온이 지나치게 상승되어 엽소현상 발생한다.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배수로를 정비하고, 배수불량 과원은 명거 및 암거 배수시설을 설치한다.
토양수분 변화가 크지 않도록 관수를 하고 피해과원은 피해 정도에 따라 적과하여 착과 부담을 덜어준다.
장마 후 지나친 영양생장으로 수관이 복잡해지면 광환경 개선을 위해 도장지 제거 등 하계전정 실시한다.
△화훼=비가 오고 흐린 날이 많을 때 시설 화훼류는 햇빛이 부족하여 웃자라게 되므로 아주심기 할 때는 햇빛을 잘 받을 수 있도록 포기간격을 충분히 유지한다.
집중호우에 대비하여 하우스 주변의 배수로를 정비하여 외부의 물이 하우스 안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
습도가 높으면 각종 병 발생이 많아지게 되므로 환기를 잘 해 주고, 예방 위주로 농약 살포를 한다.
여름 재배를 하고 있지 않는 하우스는 염류 집적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을 담아 두거나 헌 비닐을 덮어 태양열 소독 실시한다.
△버섯=세균성갈변병은 균상 표면의 건조와 과습이 반복되거나 관수한 물이 증발하지 못하고 버섯의 표면에 오랫동안 남아 있게 될 때에 많이 발생하므로, 재배사 내의 온도와 습도를 알맞게 조절해 주고, 물을 준 후 반드시 환기를 실시하도록 하며 낮과 밤의 온도관리에 주의한다.
푸른곰팡이병은 재배사 주위에 병원균 밀도가 높고 폐면·볏짚에 수분이 많거나 부족하여 이상 발효가 되거나 습도 조절이 적절치 못할 때 많이 발생하므로 배지를 철저히 소독한다.
버섯파리 유충은 버섯에 구멍을 뚫어 상품성을 떨어뜨리고 성충은 각종 병원균과 선충·응애 등을 옮기게 되므로 재배사 출입구와 환기창으로 파리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방충망을 설치하고 재배사 주위에 살충제를 뿌려 농약 냄새로 인한 버섯파리 성충의 침입을 차단한다.
△인삼=비가 오지 않고 가뭄이 지속되는 곳에서는 고년생 포장은 점적관수, 묘삼포장은 1주일 간격으로 관주한다.
여름철 집중호우에 대비하여 사전 조치해야 한다.
유기물 함량을 2%정도로 하여 포장의 적습범위 유지 및 통기성 개량하고 고랑제초기를 이용하여 배수로를 정비하고 두둑을 높게 유지한다.
해가림 시설의 늘어진 피복물을 팽팽하게 유지하고, 작토층 상면에 볏짚 등으로 피복한다.
<농촌진흥청 제공>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