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수시설, 스프링클러, 고랑 부직포 피복 등을 이용하여 가뭄대비 생육 촉진하고, 고온·가뭄에 따른 석회결핍 예방을 위한 칼슘제 엽면시비한다. 담배나방, 총채벌레, 진딧물 등 병해충 예찰 및 적기 방제한다.
△시설채소=고온장해를 받지 않도록 환기팬을 가동하거나 차광시설을 설치하여 하우스 안의 온도가 30℃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관리한다.
생육이 부진한 작물은 제4종 복합비료 및 요소 0.2% 엽면시비, 총체벌레류, 응애류, 나방류 등 해충 방제 철저히 한다.
시설 내의 환경관리를 잘 하여 병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병해충이 발견되면 적용 약제로 방제하되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지켜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한다.
△고랭지 무·배추=지역별 적정 면적 재배와 안정 생산이 될 수 있도록 나누어서 파종토록 하고, 무는 높은 이랑 재배, 배추는 육묘 이식 재배로 습해 등 재해를 예방하도록 한다.
지난해 뿌리혹병이 발생했던 포장은 정식 전에 적용약제로 토양소독하고, 가급적 돌려짓기, 높은 이랑 재배, 석회시용, 농기계 소독 등을 실시하여 피해를 최소화한다.
석회결핍증 예방을 위해 밑거름으로 석회를 적량 시용하며 배추 뿌리가 잘 흡수하도록 토양이 건조하거나 과습하지 않게 관배수에 유의한다.
△마늘·양파=양파는 수확시기가 늦으면 수량은 증가되나 저장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용도에 따라 수확시기를 조절하고, 마늘은 줄기와 잎이 1/2~2/3 정도 누렇게 말랐을 때 수확하고, 중만생종 양파는 9월 이전에 출하할 경우는 100%, 11월 이전에 출하하고자 할 때는 60~80% 쓰러졌을 때 수확한다.
맑은 날을 택하여 상처가 나지 않게 적기에 수확하고 2~3일 동안 포장에서 건조 실시하고, 마늘 주아재배를 하는 포장은 후기 관리를 잘하고 병해충이 발생된 곳에서는 주아를 채취하지 않도록 한다.
채취한 주아는 비를 맞지 않도록 비닐하우스 안에서 잘 건조시키고, 건조한 주아는 망에 담아 보관한다.
△과수관리=고온기에 과수와 수분경합하는 초생재배 과원에서는 관수량을 늘리고, 산야초, 볏짚 등으로 토양을 피복하여 증발 억제한다.
강한 바람에 의하여 찢어질 우려가 있는 가지는 유인하여 묶어주고, 저수고 밀식재배 과원은 철선 지주의 당김 상태 점검·보완한다.
포도, 복숭아는 열매솎기 후 봉지씌우기를 하고, 포도의 세력조절지는 제거한다.
△일소피해 예방=수관내부에 햇빛이 골고루 들어갈 수 있게 도장지를 정리(하계전정)하는데, 하계전정은 지나치게 하지 않는다.
관수를 적절히 하여 적습의 토양수분을 유지하고 초생재배는 청경재배에 비해 일소피해를 감소시키며, 일소를 받은 과실은 추가적인 피해 감소를 위해서 가능한 늦게 제거한다.
과실이 햇빛에 노출이 많이 되거나 잦은 일소 피해 발생시 봉지를 씌워서 재배한다.
햇빛에 데인(일소과)과실이 많거나 햇볕에 많이 노출되는 부위의 과실은 봉지를 씌우거나 탄산칼슘(크레프논, 칼카본) 200배액(400g/20L), 카올린(Surround WP) 등을 3~4회 살포하여 과피를 보호한다.
△화훼=7월 중순 이후부터 수확할 국화는 저녁 6시부터 다음날 아침 7시까지 해가림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글라디올러스 억제재배를 하는 농가는 구근을 정식하기 시작한다. 구근은 우량 종구를 사용하며 다소 깊게 정식하고, 정식 후 에는 충분한 관수와 멀칭을 하고 해가림을 반드시 하며, 한 구근에 한 개의 싹만 자라게 한다.
덴드로비움은 화아분화기로서 온도는 최저 20℃ 이상 관리하며 비료는 주지 않고 표면이 마르면 물주기를 한다.
시클라멘은 고온기 잎자루 및 잎이 시들지 않도록 반드시 차광을 실시하고(35%) 충분히 환기하여 온도를 내려준다.
12월 수확을 목표로 하는 안개초 재배 농가는 삽목을 실시하며 삽목상 온도는 20℃가 적당하고, 용토는 펄라이트를 쓰며 삽수길이는 4~5마디가 적당하다.
노지에 재배 중인 화훼류는 진딧물, 응애류 등 병해충 방제 철저히 한다.
△느타리버섯=여름철 느타리버섯이 처음 발생할 때에는 18~23℃ 정도의 온도와 90% 정도의 습도를 유지하여 주면서, 실내의 탄산가스 농도를 높여주어야 하고, 버섯이 자라는 동안은 80~85% 정도의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관리한다.
균상에 버섯이 발생되지 않는 시기에 세균성 갈변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 농용신 수화제 등을 적정 희석배수로 살포하고, 재배사 환기창에는 방충망을 설치하고, 중앙통로, 출입문 앞에는 유살등을 설치하여 버섯파리 유충의 밀도를 낮추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제공>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