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고추밭에 점적관수 시설이 설치된 농가에서는 웃거름으로 800~1,200배액의 물 비료 시비한다.
관수시설, 스프링클러, 고랑 부직포 피복 등을 이용하여 가뭄대비 생육 촉진시킨다.
고온·가뭄에 따른 석회결핍 예방을 위한 칼슘제 엽면시비하고 담배나방, 총채벌레, 진딧물 등 병해충 예찰 및 적기 방제, 장마기에 대비하여 과습 및 역병 발생 포장 배수로 정비한다.
△시설채소=고온장해를 받지 않도록 환기를 잘하여 하우스 안의 온도가 30℃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관리한다.
고온이 지속되면 환기팬을 가동하거나 차광시설을 설치하여 고온장해 예방한다.
생육이 부진한 작물은 제4종 복합비료 및 요소 0.2% 엽면시비, 총체벌레류, 응애류, 나방류 등 해충 방제를 철저히 한다.
시설 내의 환경관리를 잘 하여 병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병해충이 발견되면 적용 약제로 방제하되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지켜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한다.
하우스 주변의 배수로를 미리 정비하여 많은 비가 내릴 때 습해를 받지 않도록 대비한다.
△고랭지 무·배추=지역별 적정 면적 재배와 안정 생산이 될 수 있도록 나누어서 파종토록 하고, 무는 높은 이랑 재배, 배추는 육묘 이식 재배로 습해 등 재해를 예방하도록 한다.
지난해 뿌리혹병이 발생했던 포장은 정식 전에 적용약제로 토양소독하고, 가급적 돌려짓기, 높은 이랑 재배, 석회시용, 농기계 소독 등을 실시하여 피해를 최소화한다.
석회결핍증 예방을 위해 밑거름으로 석회를 적량 시용하며 배추 뿌리가 잘 흡수하도록 토양이 건조하거나 과습하지 않게 관배수에 유의한다. 생육기 중 결핍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면 결구 초기에 염화칼슘 0.3%액을 5일 간격으로 3회 정도 잎에 살포한다.
△마늘·양파=양파는 수확시기가 늦으면 수량은 증가되나 저장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용도에 따라 수확시기를 조절한다.
마늘은 줄기와 잎이 1/2~2/3 정도 누렇게 말랐을 때 수확하고, 중만생종 양파는 9월 이전에 출하할 경우는 100%, 11월 이전에 출하하고자 할 때는 60~80% 쓰러졌을 때 수확한다.
맑은 날을 택하여 상처가 나지 않게 적기에 수확하고 2~3일 동안 포장에서 건조 실시해야 한다.
마늘 주아재배를 하는 포장은 후기 관리를 잘하고 병해충이 발생된 곳에서는 주아를 채취하지 않도록 한다.
△과수관리=대부분 관수시설이 설치되어 있어 가뭄의 영향은 미미, 우박 피해포장은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
사과, 배 등은 2차 열매솎기 후 우박피해(5.28)를 받은 농가들은 수확량 감소가 클 것으로 예상되고, 우박피해가 경미한 농가들은 상품성이 떨어져 농가 소득 저하가 예상된다.
우박에 의한 생육중기 이후 갈반병, 반점낙엽병 등 상처 조직을 통해 확산될 우려가 있으므로 병해충 방제 필요하다.
우박피해 과수 수세회복을 위한 비료 엽면시비하고, 강한 바람에 의하여 찢어질 우려가 있는 가지는 유인하여 묶어주고, 저수고 밀식재배 과원은 철선 지주의 당김 상태와 포도 덕 등을 점검·보완해야 한다.
△병해충 방제=사과나무, 배나무 역병은 빗물이나 비바람에 의해 병균이 다른 포장으로 이동되어 장마철에 급격히 확산되므로 과원에 물이 잘 빠지도록 해주고, 나무줄기나 지제부에 발생되면 조기에 깎아내고 약제를 살포하거나 도포제를 처리하여 병의 진전과 전염을 예방한다.
담배나방, 총채벌레, 진딧물 등 병해충 예찰 및 적기 방제하고, 병에 걸린 과실이나 잎은 제거 또는 매몰하여 이병방지한다.
△화훼=국화, 카네이션, 안개초 등 숙근 화훼류는 그물망 치기, 순지르기 등의 작업을 해 주도록 한다.
7월에 출하할 국화는 단일처리 기간으로 오후6시~오전7시까지 차광을 하며 재료는 흑색비닐, 암막차광 전용 스크린 재질을 이용함. 차광재배시 고온이 될 경우 두상화서의 중심부에 소화가 형성되는 현상(관생화)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고온장해를 피하도록 한다.
장미는 흰가루병, 진딧물 발생에 유의하며 발생시 적기 약제방제 실시하고, 심비디움은 35%정도 차광을 실시하며 고온다습시 부패병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환경관리에 유의한다.
△느타리버섯 재배=여름철 느타리버섯을 처음 발생시킬 때에는 품종별 생육 온도와 90% 정도의 습도를 유지하여 주면서, 실내의 탄산가스 농도를 높여주어야 하고, 버섯이 자라는 동안은 80~85% 정도의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관리한다.
균상에 버섯이 발생되지 않을 시기에는 클로르칼크나 농용신수화제를 뿌려 세균성갈변병을 예방한다.
고온이 지속되면 버섯파리 발생이 많아지게 되므로 재배사 밖에는 살충제를 주기적으로 뿌려주고, 재배사 환기창에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버섯파리 유충의 밀도를 낮추어 주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제공>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