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절화협회(회장 이만백)와 부산경남화훼연합회(회장 황일규)는 공원묘지 헌화용 조화 사용과 관련해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올해 정책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화훼농가의 희망’ 차원에서 지역의 화훼단체들과 연대해 조화사용 금지를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우선 두 단체는 공원묘지 주무관청인 환경부와 보건복지부, 그리고 전국의 자치단체, 공원묘지 등을 대상으로 헌화용 조화 사용을 금해야 한다는 의견을 강력하게 피력하고 있다. 조화 사용으로 화훼농업이 해를 더해 위축됨은 물론 헌화 의미를 망각한 그릇된 성묘문화를 조장하는 현 실태를 해당 기관에 적극 알려 제도 개선을 이끌어 내겠다는 계획에서다.
한국절화협회는 자치단체 차원에서 조화를 공원묘지에 들여올 수 없다는 규정부터 만들어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부산 영락공원의 경우 옥외 묘지는 조화를 규제하지 않지만 시설 내 봉안당과 가족납골묘 등에는 생화만 반입하도록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물론 조화 사용 금지에 대한 반론도 적지 않다. 산소를 찾는 사람이 조화로 헌화하든 생화로 헌화하든 이는 본인의 자유이기 때문이다.
모 대학 원예학과 교수는 대안으로 “미국 등 선진국 가운데 일부에서는 계절에 따라 공원묘지에 조화를 반입할 수 없도록 법제화한 것도 있다"며 "우리도 국민여론과 화훼농업을 고려할 경우 자율적인 자성과 제도적인 규제가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만백 한국절화협회장은 "공원묘지와 자치단체 차원에서 하루빨리 관리 지침을 만들어야 조화 사용도 줄고 혹 생길 수 있는 환경오염도 막을 수 있다"며 "조잡한 중국산 플라스틱 꽃 남용으로 화훼농가가 두 번 울고 있는 만큼 농가도 살리고 진정한 헌화의 의미도 되돌아볼 방안이 시급히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정의권 기자
플라스틱 꽃 헌화 의미 잃어, 환경파괴 우려돼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