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公, 5월 한달간 간척지 530ha에 파종

공사는 방조제 내부에 생성된 간척지에서 미세한 먼지들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이 작업에 착수했다. 공사는 자체 연구결과 방사막 설치, 살수 등 기존 방법 대신 보다 친환경적이고 효과가 큰 염생식물 파종을 택했다고 밝혔다.
염생식물이란 염분이 함유된 토양에서도 자라는 식물을 말하며, 독특한 자연경관을 형성하고 한번 파종하면 자연 확산하여 지속적으로 먼지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토양 유기물 함량이 적은 간척지에서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대량의 유기물을 점진적으로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농어촌공사에서는 새만금 간척지 총 8,929ha에 염생식물을 파종할 계획으로 2006년부터 시작해 지난해까지 81% 수준인 7,219ha의 면적에 파종을 완료했으며, 나머지 면적에 대해서도 직접 종자를 확보하여 파종을 지속할 계획이다.
공사 관계자는 특히 "파종과 채종작업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를 인근지역 주민들의 고용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지역의 고용 창출과 주민들의 소득 향상에도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