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잡초’ 약 뿌려도 안 죽어
충북 ‘잡초’ 약 뿌려도 안 죽어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2.05.21 17: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분 다른 제초제로 단계적 살포해야

충북의 논 25.7%가 제초제를 사용해도 ‘잡초’가 죽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어 체계적인 잡초방제가 중요시 되고 있다.
충청북도농업기술원(원장 조광환)이 지난해 9월부터 최근까지 도내 12개 시ㆍ군 400여 곳의 논 토양시료를 채취해 제초제 저항성 잡초 발생 예측상황을 조사한 결과 전체 논 재배면적 46,758ha가운데 25.7%인 12,032ha 정도가 제초제를 사용해도 잡초가 죽지 않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고 밝혔다.
한편 농업인들의 제초제 사용현황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를 오랫동안 연이어 사용해 오고, 현재도 70%이상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 농업기술원은 제초제 사용 시 동일한 성분의 제초제를 같은 논에 해마다 사용했을 경우 그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이 생겨 잘 죽지 않는 잡초가 늘어나고 있다며 방제체계를 개선하지 않으면 제초제 저항성 잡초 발생면적은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또한 저항성 잡초 중 발생면적이 가장 높은 초종은 물달개비 36.4%, 올챙이고랭이 30.7% 미국외풀 10.6% 순이다, 특히 저항성 잡초 ‘피’의 발생률이 9.5%정도로 조사되어 ‘피’를 방제하지 못할 경우 수량감소율이 높아 수확포기 상태까지 초래될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이에 도 농업기술원 김은정 농업연구사는 “농작물 재배는 잡초와의 전쟁으로 2~3년을 주기로 성분이 다른 제초제로 바꿔 사용해야 한다"며 "벼농사는 필수적으로 모내기 전 써레질을 할 때 토양살포용 제초제를 뿌리고, 이앙 후 5일내 초기방제용 약제를 사용해야 한다. 이앙 15일 이후에는 중기잡초방제용 약제를 추가로 뿌려주고, 후기에는 어떤 잡초가 많은지 관찰하여 그에 맞는 약제를 선택해 적기에 뿌려 방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