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농어업인 연금ㆍ건강보험 지원 확대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지난 4년간 23.5조원을 투융자하여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 만족도가 출범 이전에 비해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어촌 보건?의료 인프라 확충을 위하여 보건소 등을 874개 신ㆍ증축하고 고령농업인ㆍ다문화가족 등 취약계층 지원이 강화돼 농어촌 생활안정을 도모했고, 기숙형고등학교(150개), 농어촌전원학교(570개) 육성 및 방과후 학교 지원 등을 통해 도ㆍ농간 교육격차를 해소하고, 농어촌 출신 대학생 학자금 무이자 융자 지원액이 2011년 1,103억원으로 '07년 대비 43.4% 확대되어 교육비 경감에도 기여했다.
농어촌지역의 노후ㆍ불량주택을 25천동 개량하고, 상ㆍ하수도 보급률을 대폭 높여 농어촌 생활여건이 개선됐다. 또한 농어촌 향토자원을 발굴해 지난해까지 120개를 산업화했고, 체험마 등 농어촌 관광을 활성화하여 농어촌에 일자리를 창출하고 농외소득 증대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공공도서관(268개소) 등 문화시설을 확대하고, 직접 찾아가는 문화예술공연 등을 운영하여 농어촌 주민의 문화향유 기회를 증대했다.
농어촌삶의질위원회에는 농어촌 복지전달체계 개선, 적정규모 학교 육성방안,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 구축 등 그동안 농어촌 삶의 질 개선에 꼭 필요한 10대 중점 개선과제를 선정하고 올해 안에 세부추진계획을 마련키로 하고 위원회에서 개선과제에 대한 각 부처의 추진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ㆍ관리하기로 했다.
올해에는 2011년보다 3.3% 증가한 6조 5,305억원을 투융자하기로 결정됐다. 올해 시행계획의 주요내용은 농어업인 연금ㆍ건강보험 지원을 확대하여 건강하고 안정된 노후생활을 보장하고, 농어촌 방과후 학교 지원대상을 농어촌 전체 학교로 확대하여 농어촌 가구의 사교육비를 경감시키고 학업성취도를 높일 계획이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그간 정부의 노력으로 농어촌에 기초 인프라가 구축되고 농어촌 주민생활이 많이 안정되어 가고 있지만, 여전히 농어촌은 도시에 비해 생활 여건이 부족하고, FTA 등 시장개방에 따라 농어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며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농어촌의 발전을 위해 각 분야의 전문가와 정부가 서로 긴밀히 협조하여 삶터, 일터, 쉼터가 조화된 행복한 농어촌 구현에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연승우 기자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