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슘, 비타민A, 철분 일반보다 2배 이상 풍부

최근에는 봄부터 가을까지 재배하는 보통재배는 물론 남부 해안지역에서 겨울철에도 3중 비닐하우스에서 무가온으로 재배가 가능한 “인디언시금치” 1년 2기작 재배기술을 개발하여 농가 현장에 보급 농가소득을 올리고 있다.
전남농업기술원에서는 작년 8월 말, 해남군 북평면 아열대채소 재배농가의 3중 비닐하우스에 “인디언시금치”를 파종하고 11월초부터 현재까지 수확하고 있는데 생산량은 10a에서 1톤이며 전량 계약재배하여 kg당 4,000원에 판매되고 있다.
“인디언시금치”는 원산지가 동남아시아 열대지방이며 더위에 강한 2년생 채소로(국내에서는 1년생) 태국에서는 황실채소, 중국 ? 대만 등지에서는 황궁채로 불리어지고 있는데 온난화 되어가는 우리 남부 해안지역의 기후에 알맞는 작물이다.
전남농업기술원에서는“인디언시금치”를 농가 틈새 소득작물로 육성하기 위해 우리지역에 유망한 다수확 품종을 선발하고, 시설재배와 노지재배 생산성을 검토 하였으며, 우리나라 사람들의 식문화에 맞추어 “쌈” 이용 수확방법, 적정 수확시기 등의 기술을 개발하여 농가에 보급하는 한편 기능성 성분분석과 우리나라 사람 입맛에 맞는 요리법을 개발하고 있다.
“인디언시금치”는 다른 아열대채소에 비해 재배가 쉽고 병해충에 강하여 무농약재배가 가능하며, 한여름에는 생육이 매우 왕성하여 가정이나 공공건물의 베란다 관상용 식물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전남농업기술원 원예연구소 손동모 박사는“인디언시금치의 국내재배는 아직 보편화되지 않고 있으나, 우리지역 같은 난지권 지역은 내륙지역 보다 자라는 기간이 길고, 무가온재배로 1년 2기작이 가능하여 수량, 경영비 등에서 경제적으로 유리하며, 점차 온난화 되어가는 우리지역의 새로운 작목으로도 자리매김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전남농업기술원에서는 “앞으로도 기후 온난화에 대비하여 유망 열대·아열대 유전자원들을 적극적으로 수집, 지역 적응성과 재배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