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지속 수박관리 고민 깊어져
한파지속 수박관리 고민 깊어져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2.02.13 1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박 급성시들음증 정식기 지온 확보로 예방

▲ 전열선(히팅케이블)
구름 끼고 추운 날씨가 계속되면서 이미 정식한 포장의 수박 관리와 아직 심지 않은 수박의 옮겨심기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전라북도농업기술원(원장 조영철)에 따르면 보온덮개를 이용한 철저한 보온과 히팅케이블이나 탄소발열패드 등을 이용하여 수박정식기의 최저지온을 14℃ 이상 확보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시설수박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인 '급성시들음증'은 뿌리와 지상부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되는데, 착과기 이후 5일부터 30일경 한낮에 갑자기 식물체 전체가 시들며, 아침ㆍ저녁에는 회복되는 것처럼 보이는 증상이 계속 반복되고 결국은 말라죽게 되어 다 지어놓은 수박농사를 망치는 무서운 증상이다.
수박을 본포에 옮겨심기 전 3중 하우스와 보온덮개 등을 이용하여 충분한 지온을 확보한 후 맑은 날 오전에 정식하고, 정식 후에는 히팅게이블이나 탄소발열패드 등을 식물체 옆에 설치하여 지온을 14℃ 이상으로 유지 해 주면 뿌리의 활착을 돕고 뿌리가 지상부와 균형을 맞춰 자라기 때문에 급성시들음증을 예방할 수 있다.
수박은 농작물 생산액 중 미곡, 딸기 다음가는 작물로 2010년 조사결과 전국에 16,396ha가 재배되고 총생산액도 8,491억원에 이르고 있으며 이중 도내 재배면적은 2,512ha로 전국재배면적의 15.3%를 차지하는 중요한 작물로 알려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