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부터 산불방지 비상체제 가동
2월부터 산불방지 비상체제 가동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2.02.06 15: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림청, 5월15일까지 산불조심기간 지정

▲ 산림청은 지난 1일 산림재해상황실에서 중앙산불대책본부 현판식을 개최했다.
산림청(청장 이돈구)은 지난 1일부터 5월15일까지를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하고 이 기간 동안 산림청에 중앙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설치하는 등 본격적인 산불방지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봄철 산불은 연간 평균 산불건수의 53%, 피해면적은 89%를 차지할 만큼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철저한 예방과 대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올해는 대형 산불 우려가 높은 시기에 예정된 총선(4월 11일)과 세계 핵안보 정상회의(3월 26일)로 인해 행정동원 등 대응력 약화가 초래될 수 있어 더 각별한 산불 대책이 필요한 때다.
산림청은 이에 따라 산불위험이 가장 높은 3월 초순부처 4월말까지를 산불특별대책기간으로 설정해 24시간 산불상황을 감시하고 초동 대처를 확실히 하기로 했다.
우선 산불감시원과 전문예방진화대원 2만5000여명을 전국에 배치해 밀착 산불감시를 강화한다. 일몰 후 소각행위까지 감시할 수 있도록 이들의 근무시간도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산불감시원에게는 산불신고 GPS단말기 1만4000대를 지급해 실시간 산불상황 전달체계를 구축하고 795대의 감시카메라로는 다각적인 감시활동이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입산자 실화 및 영농활동으로 인한 산불 대응책으로 3월 이후에 소각금지기간을 설정해 계도와 단속을 병행한다. 산림청은 논?밭두렁 소각이 산불집중 발생시기와 겹치는 것을 막기 위해 지난해 가을부터 대대적인 산불원인 제거사업을 펼쳤다.
또 산불위험이 높은 지역은 입산통제구역(산림의 30%)으로 지정하고 산불취약지 등산로를 폐쇄(등산로의 50%)해 입산객 실화에 의한 위험요인을 사전 차단한다. 통제구역 및 폐쇄 등산로 정보는 산림청 홈페이지에서 알 수 있다. 효과적인 조기 공중진화를 위해 산림청 보유 헬기 47대의 가동률을 90% 이상으로 유지해 전국 어디든 30분 이내에 산불진화에 투입할 준비도 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