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의 낙과 피해 원인과 대책 농가에서 영농을 하는 가운데서 어떤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는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만 올바른 대책을 세울 수 있다. 자칫 원인 분석이 잘못되다 보면 엉뚱한 것에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게 된다.어느 날 일흔을 넘기신듯한 상당한 고령의 농업인께서 직접 고객지원센터로 찾아 오셨다. 경영하시는 배농사가 2년째 결실이 제대로 되지 않아, 아침에 집을 나서서 기차를 타고 점심시간이 가까워서야 농촌진흥청까지 물어 물어 찾아 오셨다면서 답답한 심사를 좀 풀어달라고 하셨다. 구내식당에서 식사를 대접하면서 사연을 들어보니, 2005년 8월에 농약 3종과 영양제 2종을 섞어 뿌린 결과 일찍 낙엽이 되면서 과실이 굵어지지 않아 농사를 망쳤고, 올해 들어서 지난 5월에 농약을 뿌렸는데 팥알 크기의 열매가 대부분 떨어져 농사를 망치게 되었다는 내용이었다.격앙된 목소리로 농약을 성토하는 내용을 들었으나, 과실이 떨어진 원인을 농약 탓이라고 인정하기는 어려웠으므로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원인을 규명하도록 약속하고 이튿날 관련 전문가들이 현지에 출장하였다. 초생재배로 키가 큰 풀은 허리에 닿을 정도로 자란 1,400평의 과수원에는 300주의 배나무가 있었다. 품종은 ‘신고’가 95%이고 나머지는 수분수로서 ‘화산배’와 ‘왕배’ 등이었다. 배나무의 수세는 보통이었으며 적성병이 약간 있었으나, 특별히 관심을 가질만한 다른 병해충은 없었다. 전반적으로 결실이 매우 불량하여 ○○시농업기술센터의 조사로는 주당 30~40과 정도가 착과되었으나 성장이 저조하고 불균일한 상황이었으며, ‘화산’ 품종의 주위에 있는 ‘신고’의 결실율은 양호하였다. 착과와 연계성이 높은 개화기의 인공수분은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제반 상황을 종합하여 검토한 결과, 일단 농가의 낙과현상은 살균제 농약을 섞어 뿌린 것이 원인이라고 보기는 어려웠다. 왜냐하면 농가에서 사용한 ‘헥사코나졸’과 ‘벤레이트’는 배의 적성병과 흑성병의 방제약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혼용살포가 가능한 약제이다.그리고 농가에서 말한대로라면, 농약을 뿌린 시기는 배꽃이 떨어진 후 1주일 정도 경과한 때로 적성병과 흑성병의 방제적기이고 농약의 사용방법은 적합하였다. 따라서 낙과 피해의 원인으로는 기본적으로 ’05년의 조기낙엽에 따른 배나무의 영양축적이 부족한 처지에서 ’05년 12월의 약 3주에 걸친 장기간의 이상저온에 의한 꽃눈의 피해가 예상되었다.아울러 올해 들어 4월 개화기에 나타난 0℃ 내외의 이상저온에 의해 개화가 불안정한 여건인데다 수분수인 화산배 품종이 부족한 상황에서 인공수분을 실시하지 않아 수정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되었다.올해 5월초의 약제처리 후 낙과가 심하게 발생한 것은 수정이 불량한 열매의 조기낙과 시기와 우연히 일치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따라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배나무가 적정한 양분축적으로 안전한 겨울을 나도록 배나무 관리에 유의하고, 특히 수분수인 화산배가 크게 부족하므로 인공수분을 반드시 실시할 것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조기낙엽의 원인을 제공한 영양제와 제4종 복합비료 등은 농약과 혼용하지 않도록 하고,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사항이 있으면 지역의 농업기술센터 담당 전문가와 수시로 상담하도록 주문하였다.<농진청 고객지원센터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