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추=남부지방에서 고추 터널재배를 할 경우에는 4월 중순경에 본 밭에 아주 심고, 터널을 설치하여 비닐을 덮어 주도록 한다.멀칭용 비닐은 아주심기 3~4일전에 덮어서 지온을 높여 주어 새 뿌리가 잘 내리도록 하고,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흑색이나 배색(配色) 비닐을 이용토록 한다.아주심기 하는 모는 본 잎이 10~13매가 되고 첫 번째 꽃이 피어 있는 정도가 적당하며 모를 심는 깊이는 육묘상에서 심겨졌던 깊이로 심는다. 키가 큰 모를 심을 때는 북을 주지 말고 곧바로 받침대를 세워 주도록 한다.육묘상은 아주심기 7~10일전에 문을 열어 모 굳히기를 하되 외부기온이 15℃이상 유지될 때 실시한다.플러그묘를 구입 재배하여 심을 때는 뿌리가 마르지 않도록 주의한다.△시설 채소=한낮에는 환기를 실시하여 하우스 안의 온도가 30℃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하고, 밤에는 보온관리로 저온 장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하우스 안의 습도가 높으면 곰팡이병의 발생이 많아지므로 안개감지 제거장치를 이용하거나 환기를 하여 습도를 낮추어 주고, 물은 점적관수 시설을 이용하여 오전에 주도록 하며 물을 절약하는 절수재배를 실천토록 한다.△마늘·양파=마늘과 양파는 구가 굵어지는 시기로 가장 많은 수분을 필요하게 되므로 포장이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논에 심은 마늘과 양파는 비가 올 때를 대비하여 배수로를 잘 정비해 주도록 한다.토양수분이 많은 밭토양 연작지에는 흑색썩음균핵병 발생이 우려되므로 병든 포기가 발견되는 즉시 뽑아 없앰으로써 토양중의 병원균 밀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하고, 습도가 높을 경우 많이 발생되는 노균병은 배수관리를 철저히 하고 발병 초기에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토록 한다.△과수=과수의 열매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꽃봉오리나 꽃 솎기를 해 주는 것이 저장 양분의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열매 솎는 노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효과적이다.복숭아는 열매가지의 마디마다 꽃이 피게되므로 가지의 길이에 따라 알맞은 간격을 두고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꽃봉오리를 훑어 따 주도록 한다.우리나라는 지형적인 영향으로 지역에 따라 과수의 개화기 전후에 늦서리가 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기예보에 주의를 기울여 서리 피해가 우려될 경우에는 방상팬, 스프링클러 등을 가동하여 피해를 최소화한다.△화훼=장미의 꽃눈 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퇴화되는 블라인드 현상은 햇빛 비치는 조건이 불량하거나 밤에 14℃ 이하의 저온이 경과되고 영양 상태가 불량할 때 많이 발생하게 된다.장미의 블라인드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밤에 보온을 잘하여 주도록 하고, 병해충 발생 등으로 낙엽이 지지 않도록 관리한다. 화단을 잘 만들어 생활공간을 보다 기능적이고 정서적이며 아름답게 꾸미도록 한다.시중에 나와 있는 팬지, 피튜니아 등 초화류를 구입하여 화단에 심을 때는 양지 바른 곳에 심도록 하고 물을 충분히 주도록 한다.△버섯재배=느타리버섯의 발생주기가 끝나게 되면 품종별 생육 적온이 되도록 배지 및 실내온도를 조절하여 주고, 초기에는 공중 습도를 95% 이상 유지시켜 주어 초기의 버섯 발생이 고르게 되도록 관리해야 한다. 주기별 버섯이 다시 발생되기 시작하면 빠른 시간 내에 품종별 적온을 유지시켜 주고, 공중 습도는 85~90%로 낮추어 주면서 환기를 시켜 주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