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과수원 관비재배 기술▲관비의 정의=관비재배는 저투입 농업이며 친환경 농법으로 21세기 과원 토양관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정확한 의미는 관수 시스템에 비료를 녹여 뿌리 가까이 주도록 하는 방법으로 작물이 필요로 하는 양분을 시시각각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양분의 효율도 높이고 노력도 줄여 효과는 최대로 올리는 재배 방법이다. 따라서 이 재배법은 환경 친화형 농법으로 선진국에서는 보편화되어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효율이 높은 만큼 정밀성을 요구하는 재배법이라는 것을 생각하여야 한다. ▲관비재배의 장점과 단점=관비재배의 장점은 토양에 관수와 시비를 동시에 행함으로써 비료(영양분)의 흡수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면서 흙에 함유된 점토와 유기물에 의한 완충작용의 이점도 활용하고 비료 성분은 다량 원소만 공급하고 미량원소는 흙에 포함된 양분을 이용하는 저투입 농법이다. 단점으로는 자재가 투입되고 비료의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정밀성이 떨어지면 작물 생육에 부작용이 바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물관리가 적정하지 않을 때는 관비되는 양액이 지하수를 바로 오염시킬 수 있는 단점도 있다. 또한 물에 녹여 공급되기 때문에 물에 잘 녹지 않거나 녹은 후에 다시 염을 쉽게 형성하는 비료는 관수 시스템을 막을 염려가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곤란하고 관비 후 물의 흐름에 따라 비료 분포가 다르게 됨을 주의하여야 한다. ▲관비재배할 때 고려 사항=효과적인 관비재배를 위해서는 양분의 이동성, 용해도 및 비료의 화학성(혼합 가능성, 침전, 부식이나 막힘) 토양 화학성, 뿌리의 분포, 작물의 생육 단계별 양분 요구도 등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과수원에서 즉 노지에서 관비는 시설재배에서의 관비 시스템과는 상당 부분이 다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강우가 일정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관비를 할 때 고려되어야 할 점이 많다. 우선 물관리와 비료의 공급을 어떻게 균일하게 할 수 있는가 하는 방안이다. 첫째로 비료를 주어야 하는 시기인데 비가 계속 온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둘째로 실제 관수되는 물량에 어떤 방법으로 액비를 공급할 것인가?, 시설채소와 같이 면적이 적고 물 관리 조절이 원하는 대로 될 수 있는 곳은 전체적으로 일정량을 공급하는 방법이 가장 쉽고 정확하겠지만 과수는 노지에 면적이 크기 때문에 실제 포장에서 전체 면적을 정밀하게 물 관리를 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기 때문에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비료의 용해도=관비에 사용되는 비료의 용해도는 대단히 중요하다. 관비에 사용되는 용해도가 높은 비료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ammonium nitrate, potassium chloride, potassium nitrate, urea, ammonium monophosphate 및 potassium monophosphate 등이다. 비료의 용해도는 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여름에 만들어진 액비는 가을에 침전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비료와 관수되는 물과의 관계=비료와 물의 관계에서 칼슘이나 마그네슘을 많이 함유된 물은 비료 탱크에서 침전을 일으킬 수 있으며 점적기나 여과기를 막을 수도 있다. 많은 칼슘이나 bicabonate를 함유한 물은 sulfate 비료를 사용할 때 CaSO4의 침전이 생겨 점적기나 여과기가 막힐 수 있고 urea의 사용은 CaCO3의 침점물이 생길 수 있다. 인산을 관비할 때는 높은 농도의 칼슘 및 마그네슘을 함유했거나 pH가 높은 물은 calcium phosphate나 magnesium phosphate로 침전될 수 있다.△액비의 공급 시스템=액비 공급 시스템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공급되는 양, 공급되는 시간, 비료의 비율, 공급 시작과 종료되는 시간 등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어야 한다. 액비를 공급하는 시스템은 압력 차이를 이용하는 Venturi 시스템과 펌프를 이용하는 주입 시스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벤츄리 시스템은 가격이 싸고 쉽게 쓰일 수 있으며 측정기로 비료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관수 주관이나 보조펌프의 압력이 떨어지며 정확한 양을 조절하기가 어렵고 자동화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펌프 시스템은 액비를 펌프에 의하여 관수 라인에 주입하는 것으로 압력주입을 위해서 관수되는 압력보다 높은 압력의 펌프가 필요하다. 따라서 관비 비율이 정확하며 자동화를 쉽고 관수 라인의 압력이 떨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들고 마모가 쉽게 되고 고장을 일으키기 쉽다.△관비되는 양분의 형태=관비로 공급할 수 있는 양분은 어떤 양분도 가능하나 물에 녹였을 때 서로가 작용을 하여 침전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액비 원액을 조성할 때 주의하여야 한다. 비료의 녹는 정도는 물의 온도와도 관계가 있으므로 고려되어야 하나 과수원은 재배시기가 춥지 않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되지 않는다. 양분의 이동 양상을 보면 일반적으로 질소, 황 및 킬레이트 미량원소(ZnEDTA, FeEDDHA, CuDTPA) 등의 음이온 형태는 토양에 흡착되지 않기 때문에 물과 함께 이동하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