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공식 가진 중앙과수묘목관리센터
기공식 가진 중앙과수묘목관리센터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06.04.0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달 27일 기공된 중앙과수묘목관리센터는 오는 2008년 모든 시설이 완공된다. 한국과수농협연합회(회장 윤익로)가 추진 중인 이 센터는 부지면적이 2만4,000평 규모로 이미 매입이 완료됐다.중앙과수묘목관리센터에서 앞으로 공급하게 될 과종은 사과와 배, 감귤, 단감, 포도, 복숭아 등으로 원종의 보존과 증식을 추진한다. 감귤 등 기후상 육성이 어려움 품종은 한국과수농협연합회 회원조합인 제주감귤농협 등에서 사업을 대행하게 된다.중앙과수묘목관리센터는 묘목 육성사업 뿐만 아니라 무독묘 공급을 위한 병해충검정 업무도 수행하게 된다. 센터 내에 들어설 주요 시설을 보면 병해충검정센터 440평, 저온저장고 30평, 농기계사 90평, 부속시설 80평 등이다. 기본 설계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앞으로 과수재배농민을 위한 교육시설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묘포장 규모는 2만3,500평으로 모수격리 재배시설(철골구조) 2,500평과 모수증식포 2만1,000평이 조성된다.중앙과수묘목관리센터 건립에 투입되는 예산은 총 66억원으로 이중 55억원이 국비이며, 11억원이 한국과수농협연합회 자부담이다. 부지 매입비용은 전액 한국과수농협연합회에서 자부담으로 해결했다.한국과수농협연합회는 과수산업의 경쟁력 강화가 시간을 다투는 긴급한 사안인 점을 감안, 이미 네덜란드와 사과 우량원종 구매계약을 체결해 놓고 있다.또 이탈리아, 미국, 일본 등 과수선진국과 다각도로 접촉, 다른 품종의 원종도입도 추진하고 있다. 포도원종의 경우 지난 1월 일본으로부터 들어왔다.중앙과수묘목관리센터 건립은 문화재 발굴조사 후 공사허가를 받았으며 모수격리 재배시설 설계까지 완료함으로써 예상됐던 난재들은 대부분 극복한 상태이다. 농림부에서도 FTA기금을 활용, 연차적인 지원계획을 세우고 있어 앞으로 남은 공정엔 별다른 차질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따라서 2008년이 되면 우리나라 과수산업은 세계적 수준의 중앙과수묘목관리센터를 뿌리로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