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인구 줄고 귀촌인구는 늘어
귀농인구 줄고 귀촌인구는 늘어
  • 권성환
  • 승인 2025.06.25 09: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견고했던 50대 이상 연령층의 귀농 흐름이 약화한 모습
청년농 지원 정책 효과로 30대 이하 귀농 타 연령층 대비 양호

귀농인구는 줄고 귀촌인구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5일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통계청이 공동으로 발표한 ‘2024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귀촌은 318,658가구, 가구원 422,789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4.0, 5.7%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귀농은 8,243가구, 가구원 10,710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20.0%, 21.7% 감소했다.

귀촌 가구수 및 인구는 국내 인구이동자 수가 2023년 대비 2.5% 증가하면서 3년 만에 반등했다. 전년 대비 전 연령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30대가 가장 큰 폭으로(8.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3.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20대 이하 역시 높은 비중(20.2%)을 보였다. 

귀촌인이 많은 상위 5개 지역은 경기 화성(27,116명), 충남 아산(19,085), 경기 남양주(15,314), 충북 청주(14,101), 경북 포항(12,666) 순이었으며, 귀촌 전 거주지는 경기 26.1%(110,280명), 서울 12.8, 경북 7.7 순,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서 이동한 귀촌인이 42.7%(180,347명)이었다. 귀촌 이유로는 직업이 32.0%로 가장 많았고 주택 26.6%, 가족 24.2% 순이다.

귀농의 경우 흐름을 주도하는 50대 이상 연령층의 견고한 흐름세가 약화(7,992가구→6,191, 비중 77.5%→75.1)하면서 전체 귀농 규모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지난해 고용동향을 살펴보면, 50대 이상 연령층은 고용률(57.9%)은 전년과 같았으나, 농업 외 분야에서 취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이하는 타 연령층에 비해 소폭 감소(1,112가구→1,076, △3.2%)하고, 연령 비중은 2년 연속 증가(9.4%→10.8→13.1)하여 역대 최고치(기존은 ‘18년 11.3%)를 기록했는데, 이는 정부의 청년농에 대한 지원 정책의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귀농인이 많은 상위 5개 지역은 경북 영천(140명), 경북 상주(138), 전남 해남(123), 전남 고흥(120), 경북 의성(112)이며, 귀농 전 거주지는 경기 21.9%(1,839명), 서울 14.4, 대구 7.9,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서 이동한 귀농인이 전체의 42.2%(3,550명)를 기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