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준 남원조합공동사업법인 대표이사의 취임과 함께 운영 방향을 제시했다.
이 대표는 조공이 유통 전문 조직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하고, 지역 농가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는 “농업인은 재배에 전념하고, 유통은 조공이 책임지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생산과 유통의 역할이 분리되면 각자의 전문성을 살릴 수 있고, 전체 농업 시스템의 안정성도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향후 조공의 핵심 전략으로 온라인 유통 확대와 수출 기반 강화를 제시했다. 변화하는 소비 환경에 맞춰 새로운 판로를 모색하고, 지역 농산물의 시장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조공의 주요 과제라는 판단이다.
그는 “유통 구조가 빠르게 변하고 있는 만큼, 조공 차원에서도 온라인과 수출을 아우르는 다양한 유통 채널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남원조공은 참여 농협 간의 협력 체계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이 대표는 “각 농협이 감당하기 어려운 틈새 유통 영역이나 수출 분야는 조공이 적극적으로 보완해 나가야 한다”며 “행정기관과도 유기적으로 협력해 필요한 사업 자원을 확보하고, 지원 체계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지역의 지리적 특성 또한 조공 운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로 언급됐다.
그는 “남원은 평야지와 고랭지대가 공존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작형을 조절하면 동일 품목이라도 출하시기를 분산시킬 수 있다”며 “이러한 구조는 연중 공급의 안정성과 시장 대응력 제고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품목 구성과 관련해서는 선택과 집중의 운영 전략을 강조했다.
“너무 많은 품목을 동시에 다루면 관리가 분산되고, 마케팅의 집중도도 떨어질 수 있다”며 “지역 여건에 적합한 주력 작목을 중심으로 운영 효율을 높이되, 일정 수준의 품목 다양성은 리스크 분산 차원에서 유지하겠다”고 덧붙였다.
남원조공은 그간 참여 농협과의 공동 마케팅을 중심으로 운영돼 왔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협력 기조를 이어갈 방침이다.
이 대표는 “조공이 독립적으로 움직이기보다는 참여 농협과 전략을 공유하고, 공동으로 실행해 나가는 방식이 남원조공의 방향”이라며 “중복 투자를 줄이고, 지역 농업조직 간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구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그는, 남원조공이 지역 농산물 유통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농가가 안정적으로 재배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조공의 본질적인 역할”이라며 “현장과 밀착한 유통 전략을 통해 농업인과 함께 성장하는 조직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