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 품종 선택 = 고추는 연작, 기상 등 환경에 따라 작황이 불안정하여 병과 재해에 강한 품종을 선택한다. 재배지의 환경 및 관리 조건, 소비자의 기호성 등을 고려하여 단일 품종보다는 두 개 정도의 품종을 선택한다.
재배할 품종에 대한 정식시기, 시비관리, 병 저항성 등에 대하여 잘 파악하여 선택한다.
신품종을 선택할 때는 특성, 재배 관리 요령 등을 어느 정도 파악한 후 대체하는 것이 안전하다.
△마늘·양파 월동관리 = 뿌리가 충분히 자라지 못한 포장에서 땅이 얼었다가 녹을 때 서릿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솟구쳐 올라온 포기는 즉시 땅에 잘 눌러주거나 흙 덮기 실시한다.
토양이 건조하면 찬 공기가 뿌리까지 쉽게 들어갈 수 있어 양분 흡수 저해 및 동해가 우려되니 피복 필름이 날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포장이 건조할 경우 따뜻한 날 일찍 분수호스나 스프링클러 등을 이용하여 이랑 위로 관수를 하고 눈이 많이 왔을 경우 토양이 과습하면 습해가 발생하므로 배수로를 정비한다.
△과종별 언 피해 한계온도 및 지속시간 = 저온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느냐에 따라 동해의 정도 차이가 있다.
저온으로 내려가는 속도가 빠를수록 동결 후 해빙 속도가 빠를수록 피해가 심하다.
복숭아는 동해 한계온도 이하의 극저온이 2시간 이상 지속되면 매우 심각한 피해를 받는다.
사과의 동해는 겨울 또는 이른 봄에 저온보다 따뜻한 후 급격한 저온에 의해 더 크게 나타난다.
△사과 꽃눈 분화율 조사방법 = 농가에서는 과원의 꽃눈 분화율 확인 후 동계전정 작업량 결정이 필요하다.
△언 피해 예방 대책 = 신규 개원은 과종별로 언피해 우려가 없는 안전재배 지대에 재식한다.
품종선택은 내한성 강한 품종 식재한다.(품종에 따라 내한성 정도가 다름)
경사지는 추위에 약한 품종은 경사지 위쪽, 강한 품종은 낮은 쪽에 재식한다.
배수 불량한 논 전환 과원은 암거 및 명거 배수시설 설치한다. 주간부 피복은 대목 및 주간부를 지면에서 1m 방한 조치한다.
두꺼운 부직포, 볏짚, 신문지(15겹 이상) 등 보온성 높은 피복재 권장하고 외장용 백색페인트(백도제), 비닐소재, 신문(1∼3겹)은 보온효과 약하다.
냉기 유입은 차단 및 방향 조절한다.(방풍림, 방풍망 설치) 언 피해는 겨울철 찬바람에 의하여 조장되므로 상습적으로 언 피해를 받는 지역에서는 방풍림 또는 방풍망 설치한다.
재배관리는 과다결실로 인한 해거리 예방, 병해충 방제로 조기낙엽 방지, 적절한 시비 및 전정, 심경 통한 뿌리 활착 유도한다.
△화훼 = 겨울철 심비디움 관리는 ‘물위의 배’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철에 꽃을 많이 피우고, 분화·절화·코사이지용으로 쓰인다.
심비디움속은 열대아시아를 중심으로 북쪽 히말리아, 동쪽 일본, 남쪽 호주 북부까지 넓은 지역에 90여종이 자생한다.
온도관리는 겨울철 성수기에 고품질 출하를 위해서는 온도관리에 유의한다.
광관리는 호광성 난 종류로, 기온이 아주 높지 않다면 8만 Lux 정도의 강한 광선에서도 잘 자라고 화아분화 이후에는 3만 Lux 정도로 낮은 광도에서 관리한다.
비료는 전용양액(N-P-K-Ca-Mg:2.0-1.5-4.2-3.8-1.0kg/10a), 또는 완효성 고형 비료(오스모코트, 몰코트, 롱커 등) 사용한다.
△인삼 = 겨울철 잦은 비나 눈으로 토양 수분이 과다하면 이른 봄에 서릿발에 의해 뇌두가 손상되고, 이 부위에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배수로를 정비해 적절한 토양 수분 관리를 해준다.
폭설 피해 예방을 위해 차광망을 미리 걷지 않은 경우에는 눈이 쌓이지 않게 지속적으로 눈을 치워주고, 눈이 쌓여 집단 붕괴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중간 중간 차광망을 해체해 잇따른 붕괴를 막아야 한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 주 농사날씨(’25. 1. 20. ~ 1. 26.) [기상청 발표(’25. 1. 16., 6:00)]
(기온) 아침 기온은 -5~4℃, 낮 기온은 0~11℃로 평년(최저기온 -10~0℃, 최고기온 1~8℃)보다 조금 높겠음
(강수) 20일 오전 수도권과 강원영서에, 20일 오후부터 21일 오전 사이 강원영동에는 비 또는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음
● 이번 주 농사정보(’25. 1. 20. ~ 1. 26.)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3호]
(벼농사) [볍씨 준비] 자가채종 및 자율교환 종자를 사용할 때는 종자활력검사를 받은 후 사용 *국립식량과학원 직무육성품종 종자 분양: 지방농촌진흥청 기관 대상 (신청기간: 1.15.~31.) [토양 관리] 객토, 유기물 및 토양개량제, 깊이갈이, 배수개선 등 종합적 개량·관리
(밭작물) [보리·밀] 토양 수분 유지, 논 재배 포장 배수구 잘 정비하여 습해 예방 [감자 시설재배] 파종할 때 알맞은 감자 싹 길이 3~5㎝, 남부지방 파종 적기는 1월 중순까지이며 파종 후 투명비닐로 피복
(채소) [시설채소] 폭설 및 한파 대비, 화재 예방 등 관리 [마늘·양파] 서릿발 피해 예방, 배수로 정비로 습해 예방
(과수) [언피해 예방] 신규 개원은 과종별로 동해 우려 없는 안전재배 지대 재식 [언피해 후 관리] 수피 파열된 부위 밴딩처리(묶어줌), 병해충 방제, 착과량 확보 등
(특작) [인삼] 토양 수분이 과다하면 이른 봄 서릿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니 두둑과 고랑을 정비하여 배수 관리를 철저히 함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