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기후변화와 자연재해로 인해 피해를 입은 농민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올해도 과연 버텨낼 수 있을까”라는 농촌 현장의 한숨이 더 깊어지고 있지만, 정작 이를 해결할 ‘신기술’에 대해 잘 알고 있는 농민들은 많지 않아 보인다.
GMO(유전자변형기술)나 유전자가위기술 등 관련 기술의 용어 자체가 생소하다는 의견이 여전히 많다.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는 어느 정도 형성돼 있지만, 막상 어떤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안전성은 어떻게 검증되는 지까지 체계적으로 알고 있는 이는 드물다.
GMO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등은 제각각 작동 원리와 규제 방식이 달라, 전문 지식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더욱 혼란을 줄 수밖에 없을 듯하다. 게다가 농민들은 정부나 연구기관의 지원 내용, 신기술 활용 절차, 안전성 검증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가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기후변화가 갈수록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농업 현장에서는 당장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신기술 정보를 쉽게 얻고, 정책 혜택이나 실제 지원책을 확인할 수 있는 통합 창구가 부족하다는 점이 현실이다.
결국 ‘소통’이 열쇠다. 농민들은 매년 기상 이변에 맨몸으로 부딪히며 버텨야 하는데, 신기술이 있다 해도 접근하기 어렵고,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풀리지 않으면 쉽게 도입에 나서기 힘들다. 농정 당국과 연구기관, 소비자단체 등이 각각 흩어진 정보를 정리하고, 농민들이 이해하기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는다.
기후변화 속도가 빨라지는 만큼 농업의 위기도 깊어지고 있다. 그저 막막하다는 이유로 전통적 방식만 고수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농민들이 ‘새로운 기술’을 시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그 과정에서 투명하고 철저한 안전성 검증이 함께 이뤄진다면, 기후변화 시대에도 농촌이 희망의 씨앗을 틔울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