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인삼 만들기, 예정지 관리가 첫걸음
좋은 인삼 만들기, 예정지 관리가 첫걸음
  • 권성환
  • 승인 2024.04.02 20: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흙토람’에서 재배 이력·토양 특성 철저히 살펴 땅 선정
토양 산도 알맞게 관리해야 생존율·수확량 많아
인삼예정지 토양을 가는(경운) 모습
인삼예정지 토양을 가는(경운) 모습

기후변화와 생리장해 등으로 인삼 생산이 어려워 짐에 따라 재배 적지를 만들기 위한 인삼 재배지 조성에 농가의 관심이 높은 가운데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인삼 재배지를 새로 정할 때는 꼭 토양 조건을 확인하고 유기물을 알맞게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진청에 따르면 인삼은 같은 밭에서 연속으로 재배하면 수확량과 생육이 떨어지는 특징이 있다. 한 번도 인삼 농사를 짓지 않은 곳(초작지)을 선택하는 것이 좋지만, 이런 땅 확보가 어렵다면 재배 이력을 확인해 인삼을 수확한 뒤 10년 정도는 지난 곳으로 골라야 한다. 

땅의 재배 이력 정보와 특성, 물 빠짐 정보는 농촌진흥청 토양종합정보시스템 ‘흙토람(soil.rda.go.kr)’에 해당 지번을 입력하면 확인할 수 있다. 정보 확인뿐 아니라, 실제로 현장을 방문해 해가림 설치 방향과 경사 정도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땅을 본 뒤에는 가까운 농업기술센터 등에 의뢰해 염류농도(EC), 토양산도(pH), 질산태질소(NO3) 함량 등 토양의 화학성을 검사한다. 인삼은 생육기간이 길고 전체 생육기간 동안 양분을 천천히 흡수하므로 질산태질소나 염류농도가 높으면 뿌리가 누렇거나(황증), 붉게(적변) 변하는 생리장해가 발생하기 쉽다. 

다른 작물을 재배한 땅을 예정지로 쓸 때는 풋거름 작물인 호밀과 수단그라스를 심은 다음 30cm 이상 땅을 깊게 갈아엎어 이들 식물이 땅에 남은 양분을 흡수하게 한다. 작물을 심기 어려울 때는 볏짚 같은 유기물을 3.3㎡당 6kg씩 투입한 뒤 갈아엎는 방식으로 관리한다. 

또한, 예정지 토양산도가 기준(6.0~6.5)보다 크게 낮을 때는 소석회, 석회고토 등 석회질 비료(300kg/10a 이하)를, 토양산도가 7.0 이상일 때는 유황(60~90kg/10a) 등을 이용해 적정범위로 산도를 조절해 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