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도 탄소중립 위한 노력이 필요한 때
농업도 탄소중립 위한 노력이 필요한 때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2.06.09 11: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탄소증가로 인한 기온상승 … 각종재해 불러 일으켜
지속 가능한 농업발전 위한 탄소중립 동참해야

2022년 봄도 신록의 생명력을 느끼는 기쁨보다는 과수의 개화기 저온피해에 대한 걱정으로 시작되었다. 사과와 배 꽃은 언제쯤 필까, 혹시 일찍 피어서 서리피해를 받지는 않을까, 많은 농가가 노심초사했다. 최근 들어 개화기 저온피해는 더욱 자주 발생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의 주범으로는 기후변화가 꼽힌다.

인간이 증가시킨 온실가스는 1초마다 히로시마 원자폭탄 다섯 개와 같은 에너지를 우주로 못 빠져나가게 해서, 1998년 이후 약 30억 개의 원자폭탄과 같은 양의 에너지를 지구에 가두고 있다고 하니 실로 충격적이다.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2018년 10월 우리나라에서 개최된 제48차 총회에서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를 승인하였다. 지구의 온도가 2℃ 이상 상승할 경우 폭염, 한파 등 보통의 인간이 감당할 수 없는 자연재해가 발생하며 1.5℃로 제한할 경우 생물다양성, 건강, 식량안보, 경제 성장에 대한 위험이 2℃보다 대폭 감소한다는 것이다. 또한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전 지구적으로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0년 대비 최소 45% 이상 감축해야 하고, 2050년경에는 탄소중립(Netzero)을 달성하여야 한다는 경로를 제시했다. 탄소중립은 인간의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는 흡수, 제거해서 실질적인 배출량이 0(Zero)이 되게 하는 개념이다. 

스웨덴, 영국, 프랑스, 덴마크, 뉴질랜드, 헝가리 등이 ‘탄소중립’을 이미 법제화하였으며, 유럽, 중국, 일본 등 주요국들이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하였다.

유럽연합은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생산된 상품에 탄소 국경세를 부과하는 것을 준비 중이며 미국의 파리기후협정 복귀에 따라 미·중·EU의 기술 주도권 경쟁은 심화될 전망이다. 

우리나라도 2021년 12월 ‘2050 탄소중립 비전’ 선언에 이어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이 확정·발표되었으며 농촌진흥청도 전략마련에 참여하였다. 

2018년 기준 농업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은 22.2백만톤 CO₂ eq로 우리나라 전체 배출량 727.6백만 톤의 약 3.1%에 해당된다. 주 배출원은 벼재배(6.3백만톤 CO₂ eq), 농경지(5.5), 가축 장내 발효(4.5), 가축분뇨 처리(4.9), 농기계와 난방(1.0), 작물잔사 소각 등이다. 

농업분야는 우리나라 온실가스 주 배출원은 아니지만 온실가스 증가에 따른 기후변화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산업 중 하나이다. 따라서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을 위해 온실가스 감축, 신재생에너지 활용 등에 관심을 갖고 농업의 ‘탄소 중립’에 동참해야 할 시점이다. 

농촌진흥청은 탄소중립 기반의 환경친화적인 지속 가능한 농업을 구현하기 위한 추진 전략 및 중점 추진 계획을 수립하였다. 중점 추진계획은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인벤토리 구축 및 통계 고도화 ▲탄소저감 농업기술 실용화 확대 ▲온실가스 흡수기능 강화 ▲현장 확산 (패러다임 전환)이 그것이다.  

전문가들은 탄소중립을 위한 전환은 그 어려움과 비용이 만만치 않겠지만, 아무 대응도 하지 않을 경우 치러야 할 대가는 그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더 크며, 탄소중립으로 가기 위한 전환비용이 기후위기로 인한 재난비용보다 훨씬 적을 것이라고 한다. 

농업은 기후에 민감한 산업이라는 점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정부, 산업체, 농업인이 뜻을 모아 함께 노력해야 할 때이다.

■한점화<농진청 원예원 과수과 농업연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