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국 지위포기 민감품목 영향없어야
개도국 지위포기 민감품목 영향없어야
  • 이경한
  • 승인 2020.09.07 12: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지난해 10월 개발도상국 지위를 포기하면서 차기 WTO 협상에서 관세감축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WTO 체제에서 개도국은 농산물 관세감축 의무가 선진국의 2/3 수준이다. UR협상에서 농산물 관세감축률은 선진국이 전체 평균 36%, 품목별 최소 15%를 감축해야하나 개도국은 24%와 10% 수준으로 낮다.

또한 개도국에는 관세 및 보조금 감축에 선진국보다 더 긴 이행기간이 부여된다. UR협상에서 선진국은 5년이 주어지나 개도국은 10년이 부여된다.

그러나 정부는 미국의 개도국 지위 개혁의지 등을 감안해 향후 개도국 유지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 경제위상(GDP 세계 12위) 등을 고려, 미래협상 시 농업분야에 대한 개도국 특혜를 주장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국내농업에 대해서는 차기 WTO 협상이 시작해 타결될 때(3∼5년 이상 소요 예상) 까지는 추가적인 의무가 발행하지 않기에 부정적 영향이 거의 없으나 중장기적으로 차기 WTO 협상 타결로 선진국과 같은 대폭적인 관세와 보조금 감축이 이뤄질 경우 큰 타격이 우려된다.

선진국 수준의 관세감축 의무화는 수입농산물 단가하락→국산 농산물 소비감소→국산 농산물 가격하락 및 국산 농산물 생산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WTO 양허관세가 높고 FTA 협상 시 관세철폐 유예 등 민감성이 반영된 쌀(513%), 고추(270%), 마늘(360%), 양파(135%), 생강(377%), 인삼(222∼754%), 녹차(513%), 땅콩(230%), 감귤(144%), 사과(45%), 배(45%) 등의 품목이 예상된다.

특히 중국으로부터 수입가능성이 높으나 한중FTA 협상에서 양허제외 된 원예작물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개도국 지위포기에만 머물지 말고 먼저 민감품목이 시장개방에 영향이 없도록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하며 향후 농업예산을 대폭 늘려 농가피해가 없도록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