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특작 연구동향 리포트
원예특작 연구동향 리포트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4.03.17 1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예식물 시각자극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 구명 현황

 
■ 연구기관
△일본
- Center for Environment, Health and Field Sciences, Chiba University, Kasiwa, Japan
- Laboratory of Physiological Green Systems, Collage of Agriculture, Ehime University, Japan
■ 연구내용
일본에서는 공기정화, 실내온열환경 및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등 원예식물이 주는 기능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지고 있었다. 그러한 기능적 효과에 대한 연구와 동반하여 1990년대 초기에 원예식물의 시각 자극이 인간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기점으로, 1996년부터는 원예식물의 색채, 형태, 향기 등의 시각과 후각자극이 인체에 미치는 심리·생리적 효과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일본 Ehime 대학 연구팀에서는 꽃의 존재가 의식한 심리에서 amenity 효과를 미치는 것에 비해서, 향기의 존재는 무의식의 심리에서 amenity 효과를 미친다고 하였다. 그러한 이유로, 꽃은 시각을 통해서 인식되어서 의식된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비해서, 향기는 코의 점막세포에 직접작용하고 더욱 직접적으로 인간의 생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생리적 반응에 포함한다고 생각할 수 있는 뇌파에도 반영될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배치해야 할 원예식물의 배치방법, 배치장소의 사용목적, 계절 등은 Green amenity 디자인의 경우 원예식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중요한 부문이다. 또한 원예식물의 시각자극에 대한 데이터는 Green amenity 디자인에 중요한 데이터가 되기도 하였다.
2000년에 들어서면서부터 치바대학의 미야자키교수팀은 식물에 대한 자연의 효능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자연과 인간의 동화'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때 원예식물의 시각과 후각자극에 대한 쾌적성 평가에 있어서 측정시 피험자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소극적 쾌적성 측정보다 적극적 쾌적성 측정을 지향하고 있다.
현재 적극적 쾌적성의 평가 방법으로 근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한 두뇌활동 측정이 주목받고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우선 이마에서 뇌 안으로 빨간색 근적외선을 비춘 후 혈액 중 헤모글로빈이 빛을 얼마나 흡수했는지 조사하여 뇌 혈류량을 측정한다. 이때 뇌 혈류량 측정은 10초 정도의 짧은 시간과 광신호의 사용으로 측정에 방해를 받지 않는다고 발표하였다.
■ 국내 수준과 전망
국내에서도 현재 쾌적성에 대한 평가 방법으로 심리적 효과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생리적 효과에 대한 접근이 대략 1998년부터 실시되기 시작하였다. 식물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생리적 평가가 실시되고 있으나 아직 데이터를 이용한 Green ame-nity 디자인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그동안 원예식물을 대상으로 진행되어왔던 생리적 실험을 이용한 Green amenity 디자인은 현재로서는 적용하기 어렵다.
그러나 국내에서도 원예식물에 대한 다양한 심리/생리적 효과의 평가에 대해 뇌파, 심전도, 맥박, 혈압 측정 등이 활용되고 있으며, 점차 측정시의 문제점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 참고문헌 및 사이트
● Nishina, H., Y. Nakamoto, S. Watamori, N. Masui, and Y. Hashimoto.  1998. Analysis of Amenity Effect of Ornamental Foliage Plants on Human Psychology by Means of Brain Waves and Semantic Differential Technique. J. Soc. High Tech. Agri. 10(2):65-69.
● Park, B.J., Y. Tsunetsugu, H. Ishii, S. Furuhashi, H. Hirano, T. Kagawa, and Y. Miyazaki. 2008. Scandinav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3:278-283.
http://www.laxtha.com

■ 자료제공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연구팀 박사후연구원 장혜숙